- 영문명
- Exploring of Changes in Play Intervention Typ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Case-based Learn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장은정(Jang EunJung) 유영의(Yoo YungEui)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5호, 1163~119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0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례기반학습을 통한 유아교사의 놀이 개입유형의 변화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B어린이집 만 4세반 담임교사 2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2018년 11월부터 2019년 11월까지 사례기반학습 설계, 예비연구, 연구 참여교사 선정 및 현장 방문, 사례기반학습 실행의 4단계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교사의 놀이 개입유형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교사들이 담당하고 있는 하늘 1, 2반의 자유놀이시간을 연구자가 비참여 관찰하였고, 참여관찰, 면담, 토의노트 및 저널, 사례기반학습 토의과정을 토대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례기반학습을 통한 유아교사의 놀이 개입유형 변화는 놀이를 민감하게 관찰하고 반응하는 방관자 개입유형으로 변화하기, 놀이 환경을 풍부하게 제공해주는 무대관리자 개입유형으로 변화하기, 유아의 의견을 수용하며 놀이를 공동구성하는 공동놀이자 개입유형으로 변화하기, 유아주도의 놀이가 지속될 수 있도록 놀이를 안내하는 놀이지도자 개입유형으로 변화하기, 지시보다는 효율적으로 놀이를 제안하는 감독 및 방향전환자 개입유형으로 변화하기가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arly childhood teachers’ changes in play intervention type through case-based learning. To this end, two homeroom teachers of 4-year-old class at B child care center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participants. From November 2018 to November 2019,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four stages: case-based learning design, preliminary research, selection of participating teachers and field visits, and implementation of case-based learning.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articipating teachers’ changes in play involvement type, the researcher conducted a non-participatory observ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and analyzed based on observation notes, interviews, discussion notes and journals, and case-based learning discussion proces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 the following changes in play intervention type: changes to a bystander who observes and responses sensitively to play, a stage manager who provides rich play environment, a co-player who accepts the opinions of young children jointly and organizes play, a play leader who guides play so that child-initiated play is sustained, and a director and redirector who efficiently suggests play rather than giving instructions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유아교사의 놀이 개입유형의 변화 탐색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