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metacognition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elementary school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유미(Lee, Yumi)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5호, 1067~108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0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대인관계와 다문화수용성과의 관계에서 메타인지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초등학생의 대인관계 영역을 부모와의 관계, 교사와의 관계, 친구와의 관계로 나누어 연구 모형을 설정하였으며, 각각의 대인관계영역과 다문화수용성과의 관계에서의 메타인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자료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2013의 2차년도 데이타에서 추출한 6학년 7,324명 중 결측 자료를 제외한 총 6,778명이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구조방정식으로 각각의 연구 모형의 모형적합도를 확인하였고,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여 메타인지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초등학생의 대인관계와 다문화수용성과의 관계에서 메타인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3개의 연구 모형들의 SRMR로 보아 표본행렬과 예측행렬의 차이가 적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매타인지는 대인관계와 다문화수용성과의 관계에 영향을 주는 하나의 변인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학생들의 다문화수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긍정적인 대인관계 형성과 더불어 메타인지를 통해서 자신의 사고와 행동을 조망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야 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metacogni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pecifically, the study model was established by dividing the interpersonal rela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o the relationship of parents, teachers, and friends, and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s of metacognition in the relationship of interpersonal relations with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e research data were 6,778 of the 7,324 sixth graders except the missing data from the second year data of the Korea Education Development Research 2013 of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As a research method, we confirmed the model suitability of each research model by structural equation and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metacognition by bootstrapping. Results were as follows. The mediating effect of metacognition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RMR of the three research models showe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sample matrix and the prediction matrix was small. Thus, metacognition was a variable that influenc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s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e above findings suggest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develop the ability to view one’s own thinking and behavior through metacognition.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