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Practical Multi-Cultural History Education Using the Theme of ‘Korean Forced Migr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허영훈(Heo Young-ho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2호, 1007~1037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2.01
국문 초록
150년 디아스포라의 역사를 품은 고려인 동포들은 한국인인가? 외국인인가? 그리고 역사적인 조국은 어디인가? 한국인-고려인 학생들 서로 간의 이해와 융화 그리고 차별을 넘어 연대와 동행을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연구자는 그에 대한 해답이 바로 ‘역사’에 있다는 판단이 들었다. 이러한 인식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고려인 강제이주’ 주제를 활용한 실천적 다문화 역사교육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먼저, 고려인의 존재와 현황에 대해 살펴본 후 고려인 강제이주와 디아스포라의 과정과 그들의 삶을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소수자 역사인 ‘고려인 강제이주’ 주제를 기억과 망각의 관점에서 검토하고, 실천적 다문화 역사교육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교육과정 분석과 실천적 다문화 역사교육 이론 검토를 통해 ‘고려인 강제이주’ 주제의 실천적 다문화 역사교육의 방향을 상정하였다. 그리고 실천적 다문화 역사수업의 목표를 설정하고 프로그램(수업안)을 구안하였다. 추후 학교 현장에서 고려인, 한국인 학생들과 함께 ‘고려인 강제이주’ 주제를 활용한 실천적 다문화 역사수업을 만들어 나가면서 그 구체적인 양상과 결과를 면밀히 살펴볼 것을 기약한다.
영문 초록
Are Koreans(Goryeo People) who have 150 years of diaspora history Korean? or foreigners? And where is their historic homeland? What can we do to help our Koreans and Koreans(Goryeo People) students in our school understand, exchange and harmonize with each other and go beyond solidarity? The researcher found that the answer was in history. Based on these perceptions,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practical multicultural history education using the theme of ‘Korean forced migration . First, we reviewed the existence and current status of Koreans and then summarized the process of forced migration and diaspora of Koreans and their lives. Next, the topic of Korean Forced Migration , a minority history, was re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memory and oblivion, and the direction of practical multicultural history education was sough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urriculum and the review of practical theories of multicultural history education, the direction of practical multicultural history education under the theme of Korean Forced Migration was assumed. In addition, the goal of practical multicultural history classes was set and the program was devised. In the future, I will pledge to examine the specific aspects and results of the study by creating practical multicultural history lessons using the theme of Korean Forced Migration with Korean and Korean(Goryeo People)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고려인 강제이주와 그들의 삶
Ⅲ. 실천적 다문화 역사교육의 방향 모색과 적용 가능성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