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lementary Political Educational Implications of Student Self-Governing Activity : Focused on Students Political Attitudes chang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영현(Kim Young-Hy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2호, 285~30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2.0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자치활동경험이 정치적 태도변화에 미치는 영향과 그 정치교육적 함의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 학기 동안 학생자치활동을 실시하는 초등학교 6학년 A학급과 실시하지 않는 B학급의 정치적 태도변화를 조사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생자치활동 실시 후 내적 정치 효능감, 체제기반 정치 신뢰감, 정치참여에서 A학급이 B학급에 비하여 높은 정치적 태도가 형성되었다. 또한 학급의 임원이 모든 정치적 태도영역에서 비 임원보다 높은 정치적 태도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초등 정치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자치활동경험은 내적 정치 효능감, 체제기반 정치 신뢰감, 정치참여에 유의미한 영향을 줄 수 있기에 이를 반영한 정치교육이 고려되어야 한다. 둘째, 학생자치활동의 경험이 누적될수록 학생들의 자발적인 정치참여의 태도가 형성된다. 셋째, 학생자치활동에서 정치적 갈등과 대립에 대한 교육이 요구된다. 넷째. 학생자치활동이 임원과 비 임원 구분 없는 모두의 활동으로 거듭나야 한다. 다섯째, 학생자치활동이 학생들의 실제 삶에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교사의 배려가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governing experience on the change of political attitude and to understand the political educational implications.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 in political attitudes of class A, which conducts student self-government activities, and class B, which did not. As a result, Class A and Class B, which showed similar political attitudes before conducting student self-government activities, changed to A higher political attitude after the implementation of student self-government activities. In conclusion, the self-government activities of students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internal political efficacy, system-based political confidence, and political participation. and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students so that the outcomes produced through the student autonomy process can affect the students real lives.
목차
Ⅰ. 서 론
Ⅱ. 학생자치활동과 정치적 태도
Ⅲ. 연구설계
Ⅳ. 학생자치활동이 정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분석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