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unit evaluation of ‘family life’ in 2015 revised secondary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경민(Kim Kyungmin) 이하나(Lee Hana) 송지은(Song Jieun) 신우경(Shin Woo-Kyoung) 이고은(Lee Goe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22호, 1359~138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1.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5종 중등 기술‧가정 교과서의 ‘가정생활’ 영역에 해당하는 단원의 단원평가 내용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평가 문항을 유형, 교육목표, 성취 및 평가기준, Romey(1968)의 Q 지수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
음과 같다. 첫째, 단원별 평가 문항의 유형을 살펴본 결과, 모든 교과서에서 선다형 유형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단답형 혹은 서술형 문항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단원별 평가 문항의 목표를 살펴본 결과, 인지적 영역이 87.3%로 가장 많았고,
정의적 영역이 11.6%, 심동적 영역이 0.01%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단원별 평가 문항과 2015 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의 성취 및 평가기준을 비교한 결과, ‘인간발달과 가족’과 ‘자원관리와 자립’ 영역은 ‘가정생활과 안전자원’ 영역에
비해 비교적 성취기준과 관련 있는 평가문항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단원별평가 문항에 대한 Q 지수를 살펴본 결과, 핵심개념 ‘관계’ 대한 평가문항이 Q지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중등 기술·가정교과서의 평가문항
에 대한 추후 개선 방안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unit evaluation contents of the ‘family life’ unit in the five textbooks. Analysis of unit evaluation of family life in 2015 revised secondary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In this study, the evaluation items were analyzed based on the type, goal, achievement and evaluation
criteria, and the Q index of Romey (1968).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types of evaluation items by unit, the multiple choice type was the most frequently found in all textbooks, followed by many short-answer or descriptive question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objectives of the evaluation
items by unit, the cognitive domain was the highest with 87.3%, the affective domain was 11.6%, and the psychomotor domain was 0.01%. Thir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unit evaluation questions with the achievement and evaluation criteria of the 2015 revised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the areas of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and ‘resource management and independence’ Compared with the achievement criteria, there were a lot of evaluation questions. All five textbooks failed to meet the evaluation criteria because the number of evaluation items was the lowest in the evaluation criteria. Fourth,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Q index (Romey, 1968) on
the unit evaluation items, the Q index for the core concept ‘relationship’ was high. Based on these results, future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evaluation items of secondary technology and home textbook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