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research on the correlation between determiner clauses and nou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마에무라카즈아키(Maemura Kazuaki)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20호, 63~8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0.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관형사절이 피수식체언을 수식하는 구조에 대하여 간접적 방법과 직접적 방법으로 유사성의 정도를 고찰한다. 관형사절은 주어 ․ 목적어 ․ 부사어 – 관형사절과 동격관형사절로 범주화하였고 피수식체언은 具体名詞, 場所名詞,
事柄名詞를 비롯하여 9가지로 범주화하였다. 관형사절과 ‘-을, -는’의 상관성은 주어․ 목적어 ․ 부사어 – 관형사절이 ‘-는’을 포함하고 동격관형사절이 ‘-을, -는’을 포함한다. 이에 金民(2009)의 연구 결과를 합쳐서 주어 ․ 목적어 ․ 부사어 – 관형
사절이 具体名詞> 場所名詞와 공기하고 동격관형사절이 場所名詞> 具体名詞와 공기한다. 관형사절과 명사범주의 상관성은 주어 – 관형사절이 具体名詞> 物質名詞, 목적어 – 관형사절이 物質名詞> 抽象名詞와 공기하고 동격관형사절이 時間名
詞> 事柄名詞와 공기한다. 이들을 비교하면 유사성의 정도는 두 가지 연구 방법에서 아주 낮다. 유사성을 낮추는 요인은 말뭉치 자료의 성격 및 金民(2009)의 연구 결과의 원용을 고려한다. 후자의 요인에 있어서, 관형사절을 하위 범주화하지 않는 金
民(2009)의 연구 결과를 그대로 원용해서는 안 된다. 유사성의 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관형사절을 하위 범주화하여 하위 범주가 포함하는 ‘-을, -는’을 고찰하면 된다.
결국 말뭉치 자료가 잘 구축되어야지 유사성의 정도를 높일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eterminer clauses and Category of noun in a direct method or indirect method. Because ‘-을, -는’ and Category of noun have been identified, the indirect method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Determiner clauses and ‘-을, -는’. Based on a direct method, verify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direct method or indirect method. Determiner clauses categorize as Subject, Object, Adverb-clause, Appositional clause and noun categorize including 9 kinds of Concrete-noun, Place-noun, Matter-noun. Subject, Object, Adverb-clause use ‘-는’, Appositional clause use ‘-을, -는’. Combined with Kim Min s research, Subject, Object, Adverb-clause choose Concrete-noun > Place-noun and Appositional clause choose Place-noun > Concrete-noun. Subject-clause choose Concrete-noun > Material-noun, Object-clause choose Material-noun > Abstract-noun and Appositional clause choose Time-noun > Matter-noun. The two methods have a low degree of
similarity in correlation. A factor that lowers the degree of similarity is taken into account personality of corpus data and Kim Min s research, learner’s order of acquisition. Consider the factors in categorization of determiner clauses and learner’s order of acquisition. Therefore, the corpus data must be well developed.
목차
Ⅰ. 서론
Ⅱ. 관형사절과 구성소들의 관계
Ⅲ. 연구 방법
Ⅳ. 관형사절의 하위 범주와 명사범주의 상관성
Ⅴ. 유사성의 검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