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Teachers of Young Language Learners
이용수 146
- 영문명
- 어린이 영어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 구성요소 연구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Kim, Jung In(김정인)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7호, 1247~126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9.15
국문 초록
교수내용지식에 대한 연구는 교사의 내용지식과 교수지식이 어떻게 그들의 교수전략, 방법, 목표 등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를 알아보는데 도움을 준다. 그렇기 때문에 교수내용지식은 교사의 효율성과 학생의 학습 효과와도 관련 있다. 이러한 효과 때문에 과학교육과 수학교육에서 여러 해 동안 연구해 왔다. 그러나 교수내용지식에 대한 연구를 어린이영어교육에서 시도한 연구는 아직 없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어린이영어교사의 교수내용지식의 구성요소를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Shulman (1986)의 교수내용지식을 기반으로 한 어린이영어교사의 지식에 대한 문헌연구를 언어교육과 유아교육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여러가지 데이터 소스 (ERIC, Educational Research Complete, Education Full Text)를 사용하여 1996년부터 2010년까지의 자료 중 주제에 맞는 19개 선행연구를 선택하여 어린이영어교사의 교수내용지식을 알아보고자 한다. 그 결과 어린이영어교사의 교수내용지식은 언어유희, 선생님언어인식, 아이들 발달에 대한 지식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Research in the area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attempts to understand the ways in which a teacher’s knowledge of the subject matter and pedagogy affects their teaching strategies, methods, and goal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delve into what teachers need to know about language education for young learners and how they apply that knowledge in the language classroom. For the purposes of this paper, the researcher chose to adapt Shulman’s no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hulman, 1986) to investigate literature of teacher knowledge for young learners. Educational Resources Information Center (ERIC), Education Research Complete, and Education Full Text have been used as a database, obtaining a total of 19 empirical research articles intimately related to the topic of the work, published between 1996 and 2010. This review of literature identified three PCK components for young language learners: language play, teacher language awareness, and knowledge of child development.
목차
Ⅰ. Introduction
Ⅱ. Method
Ⅲ. Results
Ⅳ. Discussion
Ⅴ. Conclu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