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비평이론학회
- 저자명
- Cheol-U Jang(장철우)
- 간행물 정보
- 『비평과 이론』제24권 2호, 117~13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7.30
국문 초록
질 들뢰즈의 철학적 개념 중에서 “잠재태”(the virtual)는 생철학자 베르그송의 영향을 받은 T. S. 엘리엇의 시학적 개념인 “전통”(tradition)과 현재와 과거와의 관계 속에서 해석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궤를 같이한다고 볼 수 있다. 엘리엇은
그의 시학을 통해서 인습을 고수하는 “전통주의”보다 항상 현재와의 소통을 하는 “전통”의 가치를 높이 평가한다. 그리고 가 전통을 얻기 위해 필요한 조건으로 생각한 “역사적 인식”은 과거와 현재의 관계 속에서 상호관계를 연결시키는 윤리
적 매개체이며, 들뢰즈가 생각하는 산 자와 죽은 자 사이의 윤리학에서도 필요한 요소이므로 두 사상가의 몰개성적 윤리학을 이루는데 바탕이 된다. 엘리엇은 황무지, 텅빈 사람들 , 불멸의 속삭임 을 통하여 고착된 이분법적 사고에 저항하며
현재와 과거, 죽은 자와 산 자의 윤리학을 실현 시킨다. 본 논문은 이러한 엘리엇의 들뢰즈적 윤리학은 영원한 시간 속에서 현재태(the actual)와 분리되지 않고 “실재계”(the real) 속에 공존하는 “잠재태”(the virtual)의 역할이 그가 추구한 “전
통”을 실현하기 위한 필수불가결한 요소임을 설명하고 결과적으로 들뢰즈와 엘리엇의 몰개성적 윤리학을 통해서 실제적인 타자와의 관계가 아니라 개인이 몰개성화 세계를 경험에서 발생하는 윤리학임을 증명한다.
영문 초록
Gilles Deleuze’s philosophical term, “the virtual” reminds us of T. S. Eliot’s poetic term, “tradition” in terms of Henri Bergson’s vitalistic ethics.
Eliot’s poetics has something to do with Deleuzian ethics in that Eliot accomplishes his “tradition” to the extent which the past/the present echoes the dead/the living in the realm of the impersonal ethics based on historical
sense. In his poetics, Eliot puts the emphasis on the value of tradition, not that of traditionalism. The poet opens the possibility of relationship between the dead and the living or death and life by dealing with such binary
oppositions as death/life, the past/the present, wasteland/garden in his works,
The Waste Land, “The Hollow Men,” and “Whispers of Immortality.” The ethical relationship between binary oppositions is fully fulfilled in those three poems in the perspective of Deleuzian ethics. For Deleuze, the impersonal
death leads us to the field of the virtual and makes us meet the dead in times of Aion. The essay attempts to illustrate how Eliot’s “tradition” can be acquired in the realm of Deleuzian impersonal ethics which is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 and the impersonalized self, not between the self and the other.
목차
I. Introduction
II. Desire and Memory
III. The Virtual/The Actual
VI. The Dead/The Living
V. Conclu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