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utility assessment of self-made device in hand fan lateral examination
- 발행기관
-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 저자명
- 심주희(Ju-Hee Sim) 방상기(Sang-Ki Bang) 조남용(Nam-Yong Cho) 김현호(Hyeon-Ho Gim)
- 간행물 정보
-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논문지』2019년 춘계학술대회 논문지, 51~57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3.30
국문 초록
목 적:손 부위의 골절 및 염증 등의 병변이 있을 경우 손 부채꼴 측방향 검사를 시행하는데, 이 때 스스로 자세를 취하지 못하는 환자들 검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보조기구를 사용한다. 본 연구에서 3D 프린터로 자체 제작한 보조기구를 사용하여 손 부채꼴 측방향 검사를 시행하고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 내원하여 손 측방향 검사를 처방 받은 환자 중 스스로 자세를 잡지 못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3D프린터로 자체 제작한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사용전과 후를 검사하였다. 영상의학과 전문의 1명과 정형외과 전문의 1명, 방사선사 6명(5년차 이상)이 보조기구를 사용하기 전, 후의 사진을 비교하여 유용성을 평가했다. 또한 영상 화질평가를 위해 Image J(ver-sion1.52a)프로그램을 통해 Signal to Noise(SNR)과 Contrast to Noise Ratio(CNR)을 측정 하였다. 통계분석은 IBM SPSS(ver 22 Ins, Chicago,IL,USA)를 이용 하여 분석 평가 하였다.
결 론:3D프린터로 만든 보조기구를 사용하기 전, 후의 사진을 비교하여 평가한 결과 첫마디 뼈에서부터 끝 마디 뼈까지 분리 되어 나타나며, 보조기구가 골절부위나 통증부위를 가리지 않았다. 리커트척도의 Pearson 상관 계수는 유의수준(P<0.05) 나타내었다. 또한 화질 평가에서는 사용하기 전 SNR의 평균은 6.21±0.01, CNR의 평균은 8.78±0.01로 측정하였고 사용한 후 SNR의 평균은 6.20±0.01, CNR의 평균은 8.69±0.02로 측정되었다. 대응표본 T test(Paired t-test)을 통해 SNR과 CNR의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내었다.(P<0.001)
결론:3D프린터로 자체 제작한 보조기구를 사용 후 손 측방향 검사에서 각 손가락이 명확히 분리되어 보여 사용한 후 영상이 진단에 유용하며, 검사 자세를 취하는 것에도 효율적이라고 사료된다.
영문 초록
Purpose:In order to facilitate examination of patients who are unable to position themselves due to lesions such as fractures and inflammation during hand lateral examination, the examination is carried out using a self-made assistance device with 3D printer.
Materials and Method:An assistance device use examination for patients who were prescribed Fan lateral examination and who were unable to position themselves.
The 3D drawing design program is produced in Tink-ercad as program, FineUnit300 as 3D printer equipment, PLA filament as materials, 0.3 mm in thickness, and FDM for printing methods. One radiologist, one orthopedic surgeon, and six radiographers evaluated usefulness in diagnosing lesions by comparing the photos before and after using the assistance device. Check if Signal to Noise Ratio and Contrast to Noise Ratio of the assistance device image affect the image.
Result:The comparison of the photos before and after 3D printed aids showed that they were separated from the first bone to the last bone, and the assistance device did not cover the fracture or pain.
Th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on the Likert scale was expressed as p<0.05. The image quality evaluation measured the SNR average as 2.91±0.04 and the CNR average as 3.01±0.03 before use. The image quality evaluation measured the SNR average as 3.98±0.06 CNR average as 4.10±0.05 after use.
Through the paired t-test, SNR and CNR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Conclusion:Images after use of the assistance device prove to be of high diagnostic value. It can prevent secondary infections by being disinfected. The 3D printers is advantage with a produced at a lower cost, various types. This study is intended to con-tribute to the application of 3D printers in the medical field.
목차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Ⅵ.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