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Vocal Fatigue and Voice-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Speech-Language Pathologists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김지성(Ji Sung Kim) 최성희(Seong Hee Choi)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3. no.4, 1078~1090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0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한국 언어재활사의 직업적 음성사용실태를 파악하고, 음성건강 증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언어재활사의 음성피로도 검사와 음성과 관련된 삶의 질 검사의 점수를 비교하였다. 방법: 주당 20회기 이상 치료하는 언어재활사 137명(남 20명, 여 117명)에게 온라인이나 오프라인으로 음성과 관련된 설문과 K-VFI, K-VQOL을 실시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언어재활사의 연령은 20대가 79명, 30대가 46명, 40대 이상이 12명이었다. 결과: 언어재활사의 근무기관 유형, 주당 치료 회기 수, 경력, 주관적인 음성문제 여부에 따른 음성피로도 검사(K-VFI)와 음성과 관련된 삶의 질 검사(K-VQOL)의 점수를 비교한 결과 주관적인 음성문제가 있는 집단은 주관적인 문제가 없는 집단에 비해 K-VQOL-P (신체)-F (기능), K-VQOL–S (사회)-E (정서), K-VQOL-T (총점), K-VFI-F (피로), KVFI-P (신체), K-VFI-R (휴식), K-VFI-T (총점)의 점수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p≤.001). 또한, 주관적 음성증상, 음성오남용, 음성피로지수 및 음성과 관련된 삶의 질 간의 유의한 상관(p≤.001)이 나타났다. 근무기관 유형에 따른 주당 치료 회기 수는 20-29회기를 치료하는 경우가 43.8%, 30-39회기가 37.2%, 40회기 이상 치료하는 경우가 19%이었으며, 40회기 이상 치료하는 언어재활사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 근무기관은 병원(10.9%)이었다. 논의 및 결론: 직업적 음성사용으로 인한 언어재활사의 음성피로와 음성과 관련된 삶의 질 증진을 위해서는 주관적 음성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음성오남용을 줄일 뿐 아니라 음성오남용에서 비롯되는 신체적 문제를 개선시킬 수있는 적극적인 자가 음성관리프로그램의 적용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ocal fatigue, voice-related quality of life, and their related factors in Korean speech-language pathologists (SLPs) for the improvement of voice health. Methods: A total of 137 SLPs (male 20, female 117) responded to an online or offline survey and then the data were analyzed. The respondents worked 20 sessions per week. Seventy-nine of the participants were in their 20s, 46 in their 30s, and 12 in their 40s and above. Results: SLPs who had subjective problem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K-VQOL-physical functional, K-VQOL-social-emotional, K-VQOL total, KVFI-fatigue, K-VFI-physical, K-VFI-rest, and K-VFI-total (p≤ .001). Additionally, K-VQOL and KVFI based on workplace, sessions per week, and career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p ≤ .000) between subjective voice symptoms, voice abuse and misuse, voice fatigue index and voice-related quality of life. The type of workplace where the highest percentage of SLPs worked for over 40 sessions was the hospital (10.9%). Conclusion: To reduce vocal fatigue and to improve voice-related quality of life of SLPs, vocal abuse and misuse that may affect voice problems should be eliminated and also self voice care need to be implemented in their daily life. These findings may help SLPs improve not only voice health but also overall life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