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xamination of Mediation Effect that Self-encouragement has on Relationship between Parent-Adolescents Communication Styles and Subjective Well-be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장용희(Chang, YongH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10호, 637~65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5.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주관적 행복과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충북 C시에 소재한 중학교 2학년 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하여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척도, 주
관적 행복감 척도, 자기격려 척도 설문지를 실시하였으며, 자기격려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자녀간 개방형 의사소통과 자기격려는 주관적 행복과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자녀 간 개방형 의사소통과 주관적 행복과의 관계에서 자기 격려의 부분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자녀 간 문제형 의사소통과주관적 행복과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완전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연구결과는 중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을 높이기 위해서 상담 장면에서는 내담자에게 자기격려를 사용할 수 있도록 조력하고 부모에게는 격려의 중요성을 교육함으로써자기격려사용을 증진시켜 청소년 상담에 대한 개입 방안 및 가능성을 제공하는 데 의미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empirical research intended to test a meditation effect of self-encouragement has on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for middle school students for second grad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subjects were 300 students from C middle school
students located in Cheongju.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were as follows:
self-encouragement scale, parent-child communication scale, Subjective well-being scal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in self-encouragement, parent-child communication, Subjective well-being. Second, there were a mediation
effect of self-encouragement on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turned out be significant. Third, In particular a partial mediation effect of self-encouragement,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communication style as open and Subjective well-being turned out be significant. Forth, full mediation effect of
self-encouragement,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communication style as problematic and Subjective well-being turned out be significan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