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mpact of Autonomy Supports on Depress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Mother Attachmen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손성화(Son SungHwa) 강영심(Kang YoungS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10호, 191~21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5.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모애착의 매개효과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부산, 울산, 경남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중학교의 일반학급과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초통계,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모애착은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우울은 정상범주로 확인되었다. 둘째, 부모의 자율성 지지는 모애착과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애착은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장애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모애착은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중학생의 정서적 이해를 돕고 향후 장애중학생의 우울을 감소하기 위한 실천적 지원방안을 모색하는데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s study aimed to re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nomy supports and depress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mother attachment was explored. The participants were 103 middle school students with mild disabilities in Busan and Ulsan city, Gyeongnam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alyse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autonomy supports and mother attachment was more than normal. And the level of depression was normal.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f
autonomy suppor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on depression. Third, the mother attachment effected on depression. At the same time, the mediating effect of mother attachment was identified. This results suggest that mother’s autonomy supports and attachment play an important role in reducing depress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