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llege Students\ goal orientation and self-efficac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권성연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7권 2호, 49~7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목표지향성과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대학생이 가진 어떠한 목표지향성 유형이 자기효능감을 높이는데 긍정적 역할을 하는지 파악하고, 이에 따라 대학의 교육 환경에서 적응적 목표지향성을 유도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자료 수집을 위해 목표지향성과 자기효능감에 대한 설문을 개발하였으며, 대학의 교직수업을 듣고 있는 수강생들에게 자신이 수강하고 있는 과목의 맥락에 비추어 설문을 하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들은 숙달목표지향성, 수행접근목표지향성, 과제회피목표지향성 순으로 목표 성향을 나타냈고 해당 과목에 대해 비교적 높은 자기효능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숙달목표지향성과 수행접근목표지향성은 자기효능감과 정적인 상관을 가지고 있었고 과제회피목표지향성은 부적인 상관을 가지고 있었다. 목표지향성간의 관계를 보면, 숙달목표지향성과 수행접근목표지향성은 유의미한 관계가 없었고 과제회피목표지향성은 숙달목표지향성과 부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회귀분석 결과, 수행접근과 과제회피 목표만이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대학생들의 수행접근목표지향성이 자기효능감 형성에 적응적일 수 있음을 나타냈다. 아울러, 중다목표지향의 관점에서 목표지향성 유형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숙달목표지향성과 수행접근목표지향성을 모두 높게 가진 것이 어느 한쪽만을 높게 가지고 있는 목표유형에 비해 높은 자기효능감을 형성한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적응적인 목표지향성 형성과 자기효능감 발달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대학의 수업 환경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 between goal orientation and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For this research, 79 college students made up a questionnaire of self-efficacy and goal-orientation, and 71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s a result, the mean score of mastery goal was higher than performance-approach goal and that of task-avoidance goal was the lowest of all. The correlations between mastery goal and self-efficacy, performance-approach goal and self-efficacy were positive, however, task-avoidance goal was related with self-efficacy negatively. Also, there were no relationships between mastery-goal and performance approach goal, and negative relationships between mastery-goal and work-avoidance goal. In the regression analysis, only performance approach goal was positive influential factor to form a self-efficacy positively, the adaptive function of performance approach goal was revealed. As an aspects of multiple-goal orientation, the differences of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goal profile was analyzed, then, the group of high mastery, performance-approach and low work-avoidance goal was the highest in self-efficacy. From above results, it was suggested to form an adaptive goal-orientation and enhance self-efficacy in college instructional environm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및 절차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부록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