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How to use picture books according to category of multi-cultural educ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곽춘옥(Kwak, Choon-o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4권 10호, 329~35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0.30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 교육의 대상과 범주에 따른 그림책 활용 방법을 탐구하였다. 다문화 교육의 대상으로 다문화 학생과 한문화 학생을 설정하고, 다문화 교육의 범주는 한국어 교육, 문화 교육, 가치관 교육으로 설정하였다. 그림책을 활용하는 이
유는 글과 그림이 있어서 이해가 쉽고 간접 경험을 할 수 있으며, 고급스러운 언어 모델이 되고 실제 삶을 투영하여 다문화 교육에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한국어 교육에서는 그림책을 한글 익히기 놀이, 말놀이, 그림낱말 카드 만들기, 실감 나게 읽기로 활용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둘째, 문화 이해교육에서는 전통 문화 익히기, 문화 탐색하기 활동을 제안하였다. 셋째, 가치관 교육
에서는 정체성 형성과 반편견 교육을 위하여 실제 인물과 거리 두기, 독자 역할 가장 놀이하기 활동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utilized a picture book based on the target and the category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ways to explore. Multi-cultural education includes both multi-cultural students and one cultural students. The category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Korean education, cultural education, values education. Multi-cultural
education utilize a familiar picture books. Picture books are written and the pictures are so easy to understand and can be indirect experience. We propose a method of play activity center for basic literacy is a lack of confidence and lack of multi-cultural students.
In the Korean education utilizing picture books activities such as Hangul Learning play, create a word picture cards, word play, and dramatic reading. Cultural understanding in the education and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culture as folk play.
And compare and analyze the two countries folktale. Uses a fable than children s reality story when the values education students with multi-cultural students and one cultural students. By the reader role pretend play has a multi-cultural student identity and turns a bias one cultural students
목차
Ⅰ. 다문화 교육의 대상과 범주, 그림책
Ⅱ. 한국어 교육을 위한 그림책 활용 방법
Ⅲ. 문화 교육을 위한 그림책 활용 방법
Ⅳ. 가치관 교육을 위한 그림책 활용 방법
Ⅴ. 나오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