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n Improvement of Pattern Resolution by Bump Map and 3D Scanning Data
- 발행기관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저자명
- 최정훈(Choi, Jung-hoon) 김응수(Kim, Ung-soo) 조우석(Cho, Woo-seok)
- 간행물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조형디자인연구 제20집 3권, 1~1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9.30
국문 초록
최근 도자기 제조공정에서 보다 쉽고 다양한 문양을 획득하기 위해 3D Scanner를 활용하여 실존 객체의 문양을 추출하고 이를 객체화한다. 그러나 실존객체의 표면 질감의 물리적인 높이 차이가 작거나 대상표면의 광원 반사량이 상이할 경우 고해상도 문양의 추출이 어렵다. 최근 주목받는 직물이나 돌이나 나무와 같은 자연물 질감이 그러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양의 추출데이터 해상도를 보정하기 위해 Bump Map을 활용하여 추가로 해상도 보정효과를 연구하였다. 3D Scanner로만 보정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가장 기초적인 Gray Scale Bump Map만을 적용하여도 최대 약 0.8mm문양 높이 차이가 확인되었으며 대부분의 편차는 문양의 형상을 가장 중요하게 표현 해주는 경계면에서 발생하였다. 이는 3D Scanning 과정에서 Noise와 실제 객체의 경계면의 분리 과정에서 물리적인 높이 차이가 미비하여 손실된 해상도를 Bump Map을 적용하여 일정부분 보정할 수 있음을 증명한 것이다.
영문 초록
Recently, a pattern is extracted by using 3D Scanner to obtain patterns in the ceramics manufacturing process. However, it is difficult to extract a high-resolution pattern if the physical height difference of the surface texture of the existent object is small or the light source reflection amount of the object surface is different. In this study, we applied the Bump Map to compensate the extracted data resolution. In case of applying bump Map, the maximum height difference of about 0.8mm was confirmed, and most of the deviations occurred at the border which expresses the shape of the pattern most importantly. This proves that the object information that is unnecessarily deleted in the noise removal process can be corrected by applying a bump map.
목차
Ⅰ. 서 론
1. 도자제품 디자인
2. 디지털 기술의 융합
Ⅱ. 연구목적 및 방법
1. 연구목적
2. 연구방법
Ⅲ. 결과 및 고찰
1. 문양추출과 1차 보정
2. Bump Map Image 가공
3. Bump Map을 활용한 부조화 보정
4. 보정효과 분석
Ⅳ.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