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Impact of Flexible Benefits plan Satisfaction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 저자명
- 최수찬(Soo-Chan Choi) 최보라(Bo-Ra Choi) 임은정(Eun-Jung Yim)
- 간행물 정보
-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24권, 209~23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7.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선택적 복지제도를 도입해 실시하고 있는 기업의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선택적 복지 제도의 항목별 만족도가 조직유효성, 즉 조직몰입, 직무만족,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이를 바탕으로 근로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며, 더불어 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선택적 복지제도를 발전시키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선택적 복지제도 도입기업 근로자 855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건강관리영역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자기개발영역에 대한 만족도가 낮을수록 조직몰입이 증가하였으며, 건강관리영역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증가하였고, 가족친화영역에 대한 만족도가 낮을수록 이직의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선택적 복지제도에 대한 근로자들의 만족도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국내에서는 최초로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선택적 복지제도에 대한 만족도를 항목별로 살펴봄을 통해 향후 선택적 복지제도의 발전방향에 대한 근거를 마련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근로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조직유효성을 높일 수 있는 선택적 복지제도의 발전방안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designed to verify how the workers satisfaction with flexible benefits plans impacted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uch as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The study endeavors to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individual workers quality of lives and effective achievements of organizational goals. For the analysis, 855 surveys which had been collected from workers in the companies carried out flexible benefits plan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respondents satisfaction with flexible benefits plans was positively influential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in all. Based on the findings, sophisticated flexible benefits plans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to various fields of occupation in order to enhance both the quality of lives of the worker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the compan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