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the Factors for Measuring Teaching Satisfaction in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한희정(Han Hee Jung) 서현아(Seo Hyun ah)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4호, 609~63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2.27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수업만족을 구성하는 요인을 탐색하고, 이를 측정하기 위한 요인별 문항을 추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유아교사 48명을 대상으로 2016년 8월 4주부터 9월 2주까지 개방형 설문을 통한 조사를 실시하였고, 둘째, 유아교육전문가 7명을 대상으로 2016년 10월 1주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토대로 도출된 유아교사 수업만족의 구성요인은 ‘교사의 정서 및 태도’, ‘상호작용만족’, ‘수업계획만족’, ‘수업환경만족’, ‘수업과정만족’ 등의 5가지로 나타났다. ‘교사의 정서 및 태도’ 에는 반성, 성실, 흥미, 자부심, 즐거움, 보람이 포함되었고, ‘상호작용만족’에는 동기유발, 의사소통, 유아 집중 유발, 유아 흥미 유발, 유아 참여 증진 등이 포함되었다. ‘수업계획만족’에는 준비 자세, 교재교구 준비, 수업 계획, 수업 이해도, 수업 연구 등이, ‘수업환경만족’에는 과한 업무, 수업방해 유아, 교사 컨디션, 시간 부족, 근무 환경 등이, ‘수업과정만족’에는 수업 수준, 개인차 고려, 창의력 증진, 신체활동/체험, 집중과 몰입, 교구/교재 활용 등이 포함되었다. 또한 유아교사의 수업만족측정을 위한 문항은 총 79개가 추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의 수업만족을 이끄는데 지표가 되는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factor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satisfaction, providing items for each factor that are used to measure that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it conducted an open-ended questionnaire survey of 48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n, this study made profound interviews with 7 exper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these moves, the study could identify five main factor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satisfaction like ‘sentiment and attitude of teacher’, ‘satisfaction of interactions’, ‘satisfaction of teaching plan’, ‘satisfaction of teaching environment’ and ‘satisfaction of teaching process’. Specifically, ‘Sentiment and attitude of teacher’ was connected with reflection, sincerity, interest, pride, delight and rewarding. ‘Satisfaction of interactions’was about motivation, communication, induction of children’s concentration, induction of children’s interest and promotion of children’s participation. ‘Satisfaction of teaching plan was about posture for teaching, preparation of teaching materials, plans of teaching and understanding and research of what and how is taught. ‘Satisfaction of teaching environmens’ was concerned with overwork, disruptive children, conditions as the early childhood teacher, lack of time and work environment. And ‘Satisfaction of teaching progress’ was about level of teaching, consideration of differences among individual children, creativity promotion, physical activities/experiences, concentration and commitment and utilization of teaching materials. Based on these details of the factors, this study finally drew out total 79 items that can be used to measure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satisfac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such basic information useful to help promote early childhood teachers’teaching satisfaction.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