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eachers’ concern regarding 2009 revised curriculum based on concerns-based adoption model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강운선(Kang, Woons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4호, 633~65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2.27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초중등 학교 교사들의 관심 수준과 교사들의 배경 변인에 따라 관심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2016년 11월 1일부터 2007년 1월 10일까지 비확률 표집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관심기반 선택모형을 활용하였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초중등학교 교사의 관심 수준과 교사 배경 변인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적인 관심 수준을 분석한 결과 무관심 단계(단계0)가 80% 정도를 차지하였다. 둘째, 2009 개정 교육과정에 관한 교사의 관심은 교외연수경험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성별, 연령대, 근무경력, 학교급, 교내연수경험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stages of concerns regarding 2009 revised curriculum among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The total number of 253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is paper presents the findings of a study that assessed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concerns regarding 2009 revised
curriculum. Preliminary data were analyzed by aggregating the Stages of concern questionnaire results and developing a profile that provided the average scores for each stage of the individuals in a group. Mean scores were converted to percentiles and plotted following the procedures outlined by George, Hall, & Stiegelbauer(2013).
Findings indicated that 80% of teachers in this sample are unconcerned about 2009 revised curriculum and respondents have a little concerns about management. Secondly, variables such as gender, age, career, school level, and trainning experience in school about 2009 revised curriculum were predictors of concern about 2009 revised curriculum. The paper includes implications, a discussion of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관심기반 선택모형
Ⅲ. 연구설계
Ⅳ. 분석 결과
Ⅴ. 논의와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