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iscovering locally customized and future promising industries using patent analysis : Centered on the Case of Busan city
- 발행기관
- 한국전자통신학회
- 저자명
- 김현우(Hyun Woo Kim) 심위(We Shim) 권오진(Oh Jin Kwon) 노경란(Kyung Ran Noh)
- 간행물 정보
-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제12권 제1호, 129~137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공학 > 전자/정보통신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2.28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지역자치단체의 관점에서 정부 정책, 지역 역량, 산업 유망성 등을 모두 고려한 지역 맞춤형 미래 유망 산업 발굴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정부의 ‘5개년 지역산업발전 종합계획(2014)’에 명시된 지역별 주력/협력산업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해당 산업군의 특허 데이터를 분석하여 지역별 과학기술 역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산업별로 연결된 IPC(: International Patent Classification)를 토대로 지식스톡(Knowledge Stock )과 연구활동지수(Activity Index) 등을 산출하여 세부산업별 유망성을 확인하였다. 부산 지역을 대상으로 사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국표준산업분류 세세분류(5자리)를 기준으로 부산의 유망산업 예비후보군 94개 분야 및 유망산업 핵심 산업군 7개 세세분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방법론은 지방 자치단체가 근거기반의 효율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지역 개발 로드맵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uggest methodology for local governments when discovering locally customized future promising industries with regard to policies of central government, regional competencies, and industrial promising. Firstly, key industries by region specified in ‘5-years regional industrial development master plan(2014)’ were utilized. Secondly, science and technology competency by region was calculated with analyzing patent data in each key industries. Thirdly, industrial promising was verified by calculating Knowledge Stock and Activity Index based on measuring industry-IPC linkage. Based on the methodology proposed above, case study(case of Busan city) was done. Finally, 7 core industries and 94 candidates of future promising industries were extracted on the basis of 5 digit of KSIC subdivision. The methodology is expected to contribute local governments to establish evidence-based, efficient, and future-oriented local R&D roadmapping.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데이터 및 방법론
Ⅲ. 분석결과
Ⅳ.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