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Suggestion on the Direction of Grammar Education Based on Sociodialectology and Critical Language Awarenes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양영희(Yang young h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1호, 257~27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1.30
국문 초록
현재 문법 교육은 ‘문법 사용 능력’을 신장하는 데 역점을 두고 있다. 본 논의는 이러한 문법 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문법 교육이 나가야 할 방향을 사회방언학과 비판적 언어 인식의 관점에서 모색하였다. 이들은 학습자의 사회적 맥락을 중요시한다는 점에 착안한 것이다.
문법을 사용하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먼저 교육 내용은 사회 방언학적인 관점에 입각해서 선정할 것을 제언하였다. 사회방언학은 사회적 요인에 따라 달라지는 언어 변이에 관심을 두므로 학습자가 사용하는 언어 변이를 중심으로 교육하면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할 수 있겠다는 생각에서이다. 다음으로 이러한 내용을 교수·학습하는 방법으로는 비판적 언어인식의 관점을 제언하였다. 비판적 언어인식 관은 ‘(교육적) 실천 행위’에 방점을 두므로 이를 문법교육에 적용하면 학습자가 자신의 어떤 목적에서 언어를 사용하는지 그리고 그렇게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파악하여, 자신의 언어생활을 객관적으로 비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까닭에서이다.
영문 초록
It is widely acknowledged that current grammar education focuses on the enhancement of ‘grammar ability’. This paper investigates directions of grammar education to achieve this goal based on sociodialectology and critical language awareness, since these perspectives set high values on learner’s social context.
To enhance grammar ability, firstly it is suggested that the educational contents be selected based on the perspective of sociodialectology. As sociaodialectology focuses on language changes caused by social factors, it is possible to teach language changes in learner language and therefore learner-centered education is made possible. Second, the perspective of critical language awareness is suggested as a learning and teaching method. Critical language awareness stresses ‘(educational) practice behavior,’ and it is possible to apply this ‘(educational) practice behavior’ to grammar education. According to this perspective, it is expected that learners will be able to recognize the purpose of their language use and the effect of the language use by themselves. Moreover, it is also expected they will be able to criticize their language life objectively.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사회 방언학과 비판적 언어인식의 이해
Ⅲ. 문법교육의 방향 설정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