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Understanding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n Multi - Cultural Society based on Reflection Journal Writing in a Team Project based Learning Clas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테레사 편(Teresa Pyon) 김수영(Soo young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6권 11호, 1137~116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1.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팀 프로젝트 기반(Team Project Based Learning) 다문화교육수업을 수강한 대학생의 다문화사회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의 변화를 고찰하고 팀 프로젝트 활동이 이러한 인식의 변화에 있어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서울소재 S대학교에서 2015년 2학기에 교양 선택 과목인 다문화교육수업을 수강중인 35명을 대상으로 두 번에 걸쳐 작성한 성찰일지를 분석한 결과, 다문화교육 수업을 통하여 다문화사회 및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영역의 변화를 경험하였다고 보고하였다. 특히, 학생들은 자료조사, 문제해결 과정과 토론활동 등의 팀 프로젝트 활동을 통해 다문화사회에 대한 더 깊은 이해와 다문화소수자를 바라보는 태도의 변화 및 자신이 가진 편견을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다양한 배경을 가진 팀원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다름을 이해하고, 존중하고, 받아들이는 경험을 체화하는 기회를 가졌다고 보고하고 있다. 팀 프로젝트 수업방식은 학생들이 다문화의 현실을 좀 더 가까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과 동시에, 다문화와 관련한 자신의 관점을 스스로 돌아보고, 인식과 태도의 변화를 일으키는 중요한 계기가 된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al changes on multi-cultural society of college students who attended a team project based multi-cultural education class and to analyze what team project activities influenced these perceptional changes. We analyzed two reflection journals from 35 students in fall 2015 at a private college based in Seoul. The results showed that those who took a team project based multi-cultural education class experienced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changes in their perception on multi-cultural society and multi-cultural education. In particular, students could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society and minorities in the society through team project activities such as data collection, prolem-solving process, and group discussions. They could recognize their own prejudice and stereotypes and have changes in their attitude towards minorities in society. Through team project activities, students could also interact with other students from various backgrounds and cultures, and they could understand, respect, and accept those differences. Further, students from different backgrounds formed a learning community in which they solved problems together, acknowledged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and finally recognized and internalized the value of variety and multi-cultures.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