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남영옥 유병민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6권 9호, 1~2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9.30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대학의 협동학습과 협력학습 상황에서 팀 구성원 특성인 집단효능감, 과업 상호의존성이 팀 멘탈 모델(TMM)을 매개로 팀 효과성인 팀 학습 성과, 팀 활동 만족도, 개별 학습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그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K대 대학생 244명(협동학습 집단 182명, 협력학습 집단 62명)으로 7주간의 팀 활동 종료 후 분석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3단계 매개회귀분석, One-way MANOVA를 통해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두 집단 모두 집단 효능감, 과업 상호의존성, TMM-팀, TMM-과제가 팀 활동 만족도를 예측하였으며, 팀 멘탈 모델이 팀 구성원의 특성과 만족도를 매개하고 있었다. 협력학습 집단에서만 집단 효능감이 TMM-과제를 매개로 팀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효한 결과값을 살펴보면 협력학습 집단의 설명력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팀효과성 하위요인에 대한 두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협력학습 집단의 개별 학습성과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F=15.133, p< .05). 상기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집단 효능감과 과업 상호의존성은 팀 멘탈 모델의 선행 요인이며, 팀 멘탈 모델을 매개로 팀 효과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개별 학습성과의 향상에는 협동학습보다 협력학습이 더 효과적이라고 결론지을 수 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에서의 팀 활동 학습 시 고려사항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