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Network Characteristics on Project Team Performance: A Social Network Inertia Perspective
- 발행기관
- 한국인사조직학회
- 저자명
- 이기현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사조직학회 발표논문집』한국인사조직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연구발표회 발표논문집, 1~2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국문 초록
프로젝트 팀은 창의적인 문제해결을 위하여 다양한 배경과 특성을 가진 개인들로 구성되기 때문에 팀 내부의 갈등을 최소화하고 협력을 증진할 수 있는 방안으로 응집성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응집성은 집단사고와 팀에 대한 강한 동일시를 유발하여 팀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의 프로젝트 팀에 대한 연구는 응집성의 긍정적인 부분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네트워크 관성 관점을 통해 팀의 응집성이 팀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역동적인 과정을 이론화하고 실증하였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트 전반에 형성된 팀 내부 네트워크 밀도가 후반의 팀 내부 네트워크 밀도와 팀들로 이루어진 네트워크에서의 팀 네트워크 중심성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이러한 네트워크 특성들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44개 팀에 대한 실험적 시뮬레이션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프로젝트 전반의 팀 내부 네트워크 밀도는 후반의 팀 네트워크 밀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팀 네트워크 중심성에 대해서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프로젝트 후반의 팀 네트워크 중심성은 팀 성과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젝트 후반의 팀 내부 네트워크 밀도는 팀 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팀 네트워크 중심성과 팀 성과 간의 정(+)적 관계를 강화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프로젝트 팀의 응집성이 팀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역동적인 과정과 프로젝트 전반의 네트워크 구조가 후반의 네트워크 구조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이론화하고 실증함으로써 프로젝트 팀 연구와 사회적 네트워크 관성 연구에 이론적으로 기여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의의와 함께 실무적 시사점, 연구의 한계, 그리고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 및 가설
Ⅲ. 연구방법
Ⅳ. 분석
Ⅴ.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