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공간주권(Territoriality)이 주도적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용수 204

영문명
A Study on the Effects of Territoriality on Proactive Behavior -The Mediating Role of Self-efficacy-
발행기관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저자명
조영복(Cho Young Bohk) 서현욱(Seo Hyun Wook)
간행물 정보
『인적자원관리연구』제23권 제2호, 47~66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6.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공간을 점유하고 지키려는 성향인 공간주권에 대하여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실제 조직 내에는 공간주권이 존재하며, 이러한 공간주권을 잘 이용한다면 동기요인으로서 조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공간주권과 조직구성원의 주도적행동의 인과관계 및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공간주권이 나타날 수 있는 제한된 공간에서 2명 이상 근무하고 있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총 201개의 자료를 토대로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통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실증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주권의 유형 중 방어는 주도적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둘째, 자기효능감은 방어와 주도적행동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 다루는 공간주권은 심리적 주인의식에 비해 관찰이 용이하여 조직 내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국내 경영학에서 거의 다루지 않았던 새로운 주제이며, 관련하여 향후 그 연구의 확장 가능성이 넓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erritoriality on proactive behavior, and the moderate effect of self-efficacy. 'Territoriality' is a tendency or a behavioral expression to keep the space which someone feels psychological ownership(Brown et al., 2005). Usually, someone can display their territoriality through marking or defending behaviors. For example, decorating their desk with their families is one of them, and it shows that the desk is his/her territory. Also, a password to prevent others accessing to computer file is a defending behavior and strongly keep others from infringing(Brown, 2014). Territoriality is inherent and inevitable, and one can easily find it even in the workplace. In this research, it will focus on proactive behavior in among various organization effectiveness factors that territoriality affects. Because, in this turbulent environment, it is necessary and needed employee's behavior for organizations to survive. Therefore, the study argue with 2 hypotheses. First, territoriality may give a positive effect on proactive behavior. Second, self-efficacy ma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erritoriality and proactive behavior. Two hundred one answers were collected using the online survey program and executed the descriptive statistics using SPSS 21.0. The results and th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practical analysis on territoriality and proactive behavior, only defense has a positive effect on it. This suggests that managers should give a education to the employees to express their defensing behavior not annoying the other co-workers. Second, the finding suggest that self-efficacy moderate the relationship of defense and proactive behavior. Based on this, the research suggests that managers can intervene and stimulate the self-efficacy when they observe the territorial defense situation.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분석결과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영복(Cho Young Bohk),서현욱(Seo Hyun Wook). (2016).공간주권(Territoriality)이 주도적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23 (2), 47-66

MLA

조영복(Cho Young Bohk),서현욱(Seo Hyun Wook). "공간주권(Territoriality)이 주도적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23.2(2016): 47-66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