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Wood Inlay technique of wood furniture
- 발행기관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저자명
- 김동귀(Kim Dong kooi)
- 간행물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조형디자인연구 제19집 1권, 83~10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3.20
국문 초록
목가구의 상감기법은 고대 이집트의 파라오의 출토 유물에서 부터 현대에 이르기 까지 계승 발전하여 오고 있다.
특히 18세기 유럽의 장식미술의 기법으로 시대와 국가를 초월하여 재료와 기법이 다양하게 시문되었고, 중국과 일본 한국에서는 칠기와 함께 병행하여 발전하였으며 근래에 이르러 시문기법도 목분상감과 공판기법 그리고 다양한 시문재료로 목가구 제작과 실내 장식미술의 기법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감기법은 시문하고자하는 표면을 파내고 상감재를 박아 넣는 기법이지만 유럽을 중심으로 한 마케트리기법, 은선과 목분을 이용한 목분상감, 그리고 서로 다른 색상의 목재로 부착하여 문양을 만든 후 문판의 중앙과 가장자리에 시문하던 목상감기법등을 포함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에서 제작한 상감가구를 통하여 재료와 기법을 분석하여 보다 다양한 재료와 기법으로 현대 주거 공간에 어울릴 수 있는 목상감가구를 제작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자료를 정리하였다.
영문 초록
Wood Inlay technique of wood furniture has inherited from ancient Egypt to modern development as it can be seen from excavated remains of the pharaoh.
Especially, techniques of decorative arts in 18th century Europe fostered inlay techniques with various materials and techniques transcending time and place. Also, Wood Inlay technique of wood furniture has been developed alongside with lacquer and inscribed pattern techniques have been widely used with wood flour inlay and screening techniques with various inscribed materials in wood furniture and interior decorative arts area.
Wood Inlay technique is craving the surface and inlaying materials into it, but Marquetry technique, wood flour technique using silver wire and wood flour Sanggam and wood Sanggam technique inscribing pattern with attached timber of a different color into the center and edge of the door plate are also researched.
In this study, various materials and techniques through wood furniture using Wood Inlay technique in home and foreign are analyzed and summarized in order to use a database for the producing wood inlaid furniture in a modern living space.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