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ntingency and Informativeness of Topic Maintenance in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s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최지은(Ji eun Choi) 이윤경(Yoon Kyoung Lee)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0. no.3, 413~423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9.30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대화의 주제를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능력은 대화능력의 중요한 측면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학령기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주제유지능력을 이전 발화의 주제와 관련된 수반성과 수반된 발화의 정보유무를 중심으로 일반아동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방법: 연구대상은 학령기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12명과 비교집단으로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12명,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12명, 총 36명이었다. 모든 아동에게서 개별적으로 10분의 대화자료를 수집한 후, 아동의 발화를 수반성 유형(모방, 비수반성, 수반성), 수반성 발화의 정보성 여부(정보 포함한 발화, 정보 포함하지 않은 발화), 수반성 발화의 하위유형으로 나누어 비율로 측정하였다. 결과: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은 두 일반아동에 비해 수반성 발화는 유의하게 적었으나 비수반성 발화는 유의하게 많았다. 수반성 발화에서는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이 생활연령 일치아동보다 정보를 포함한 발화가 유의하게 적었으나 정보를 포함하지 않은 발화는 유의하게 많았다. 정보를 포함한 발화에서는 확장하기에서만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이 언어연령 일치아동보다 유의하게 적었고, 정보를 포함하지 않은 발화에서는 형식변경에서만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이 두 일반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많았다. 논의 및 결론: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은 대화 시 수반된 발화로 주제유지를 하는 것뿐만 아니라 수반된 발화 안에서도 정보를 포함하여 주제를 확장시키는 것에 어려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기초로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주제유지능력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One important aspect of conversational competence is the ability to maintain and expand a topic of conversation.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contingent discourse that either did or did not add new information in school-aged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HFA) spectrum disorder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2 children with HFA age 7 to 12 years, 12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matched for chronological age with HFA children (CA group), and 12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matched for language age with HFA children (LA group). Conversational samples were collected individually by an exam-iner. The rate of conversation turns according to contingency (imitation, contingent, non-contingent), contingent turn's according to informativeness (added information, did not add information), and subtypes of contingent turns were measured.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HFA group revealed a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non-contingent and lower rate of contingent turns than the CA and the LA groups; the HFA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contingent turns that did not add information and lower rate of contingent turns that added information than the CA group; and the HFA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expansion than the LA group in contingent turns that added in-formation. Also, the HFA group showed significantly a higher rate of recoding than the CA and the LA groups in contingent turns that did not add information. Conclusion: We dis-cuss the contingent discourse ability of school-age children with HFA spectrum disorders based on these results.
목차
Abstract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