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ostoperative Refractive Errors after Posterior Capsulectomy during Combined Vitrectomy and Cataract Surgery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정훈(Jung Hoon Kim) 한상범(Sang Beom Han) 이승준(Seung Jun Lee) 김무상(Moo Sang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6,number5, 709~714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5.15
국문 초록
목적: 유리체절제술과 백내장 병합수술 중 후낭절제술을 시행한 경우에서 수술 전 예상 굴절력과 수술 후 실제 굴절력 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대상과 방법: 2013년 3월부터 2014년 5월까지 본원에서 유리체절제술과 백내장 병합수술을 받은 환자들 중 수술 후 3개월까지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33명 33안을 대상으로 수술 중 후낭절제술을 시행했던 환자들을 A군, 시행하지 않았던 환자들을 B군으로 나누어 두 군의 수술 전 예상 굴절력과 수술 후 실제 굴절력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실제 굴절력은 수술 후 3개월에 측정한 구면렌즈대응치로 평가하였다.
결과: 유리체절제술과 백내장 병합수술 시 인공수정체 삽입술 후 후낭절제술을 시행했던 A군은 25명 25안이었고, 후낭절제술을 시행하지 않았던 B군은 8명 8안이었다. 수술 후 예상 굴절력과 실제 굴절력 간의 차이를 보면 A군에서 수술 전 인공수정체 예상 굴절력이 -0.33 ± 0.46D였고 실제 굴절력은 -0.49 ± 0.55D로 평균적으로 -0.16 ± 0.38D (p=0.083)의 차이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B군에서 예상 굴절력은 -0.49 ± 0.77D였고 실제 굴절력은 -0.22 ± 0.59D로 평균 차이는 0.27 ± 0.29D (p=0.078)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유리체절제술과 백내장 병합수술에서 후낭절제술을 시행한 경우, 수술 후 3개월에 측정한 실제 굴절력은 예측하였던 굴절력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만 후낭절제술을 시행하지 않은 경우보다 약간의 근시 이행을 나타내는 경향을 보였다.
<대한안과학회지 2015;56(5):709-714>
영문 초록
Purpose: To evalu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dicted and actual postoperative refractions after combined vitrectomy and cataract surgeries with a posterior capsulectomy.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study of 33 eyes of 33 patients who underwent combined vitrectomy and cataract sur-geries in our hospital between March 2013 and May 2014.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those who underwent a pos-terior capsulectomy (group A) and those who underwent combined vitrectomy and cataract surgeries (group B). The actual re-fractive errors were analyzed 3 months after surgery using spherical equivalent. We compared the results between the predicted and actual refractive errors in the two groups.
Results: Group A consisted of 25 eyes of 25 patients and group B of 8 eyes of 8 patients. In group A, the average difference be-tween predicted and actual postoperative refractive errors was -0.16 ± 0.38 D (p = 0.083). The predicted refraction was -0.33 ± 0.46 D and actual refraction was -0.49 ± 0.55 D in group A.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dicted refraction and actual refractive errors in group A (p = 0.083). In group B, the average difference between predicted and actual postoperative refractive errors was 0.27 ± 0.29 D (p = 0.078). Additionally, the predicted refraction was -0.49 ± 0.77 D and actual refraction was -0.22 ± 0.59 D.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dicted refraction and actual refractive errors in group B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78).
Conclusions: When a posterior capsulectomy is performed during combined vitrectomy and cataract surgery,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fractive errors between the predicted refraction and actual refractive errors was observed 3 months after surgery. Compared with combined vitrectomy and cataract surgeries only, a small amount of myopic refractive change tended to occur 3 months after surgery.
J Korean Ophthalmol Soc 2015;56(5):709-714
목차
Abstract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REFERENCES
국문초록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