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lderly Driver's Perceived Driving Ability and Driving Behavior Associated with Traffic Accident Risk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Mijin Lee Myung Su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10권 제12호, 279~30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령운전자의 인지된 운전능력과 운전행동 및 사고위험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시행하였다. 설문조
사는 서울·경기지역의 운전면허시험장, 노인종합복지관 및 노인복지회관을 방문하여 2014년 5월 20일부터 2014
년 6월 7일까지 실시하였으며, 65세 이상 고령운전자 220명을 최종 연구대상자로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운전능
력 점수는 남성인 대상자가(p<0.001), 운전면허 발급연도가 오래될수록(p<0.01), 업무용 자동차를 운전하는 대상
자가(p<0.001), 직업운전자가(p<0.01), 하루 운전시간이 길수록(p<0.001), 위반행위 적발횟수가 많을수록
(p<0.01) 높았으며, 이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운전행동 점수는 사고 가해경험이 있는
대상자가(p<0.05) 높았으며, 이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사고위험 점수는 65세-74세인
연령대에서(p<0.001), 학력이 낮을수록(p<0.01), 직업운전자가(p<0.01), 위반행위 적발횟수가 많을수록(p<0.001)
사고 가해경험과 피해경험이 있는 대상자가(p<0.01) 높았으며, 이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인지된 운전
능력과 운전행동, 사고위험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01, p<0.01). 운전행동
과 사고위험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01). 특히 상황적응력의 경우 위반, 착
오, 오류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p<0.01, p<0.001). 주위불안, 자기불안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p<0.001). 사고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상황적응력(β=-.261, p<0.01), 연령(β=-.128, p<0.05), 위
반행위적발 횟수(β=.237, p<0.01), 사고피해경험(β=.175, p<0.05)이 사고위험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초기 고령운전자와 직업운전자, 사고 피해경험이 많은 고령운전자에 대한 교
통안전교육이 필요하며, 고령운전자가 쉽게 운전할 수 있는 고령 친화적인 도로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lderly driver’s perceived driving ability and driving
behavior associated with traffic accident risk. The target of this study was elderly drivers in
driver’s license examination offices and senior welfare center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y 20, 2014 to Jun 7. Totally, the questionnaires of 220 elderly
drivers were fully filled out. Men driver, longer the year of driver’s license issued, driving
commercial vehicles, occupational driving, longer daytime driving hours, higher frequency of
exposed violations were related with perceived driving ability(p<0.01). Having experience of
active traffic accident were related with abnormal driving behavior(p<0.05). Accident risk is
dependent on 65-74 ages, lower level of education, occupational driving, more frequency of
exposed violations, more having experience of active and passive traffic accident(p<0.01). At
the last, the factors that affected to the accident risk is situational adaptability(β=-.261,
p<0.01), age(β=-.128, p<0.05), frequency of exposed violations(β=.237, p<0.01), having
experience of passive traffic accident(β=.175, p<0.05). Based on the results in this paper, it
can be concluded that, in order to prevent traffic accident by elderly drivers, there is a need to
educate early elderly drivers and occupational drivers. It is also required to make elderly-friendly traffic environment for elderly drivers to drive easil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조사 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