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s of Enterprise Information Portal Characteristic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Individual Performance in Public Sector
- 발행기관
- 한국산업경영학회
- 저자명
- 백점석(Jeom-Seok Baek) 김기수(Ki-Su Kim)
- 간행물 정보
- 『경영연구』 第28卷 第2號, 29~58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5.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DeLone and McLean(1992)의 정보시스템 성공모형을 근간으로 기업정보포털의 특성과 직무만족, 조직몰입 등의 조직관련 요인들을 함께 고려하여 기업정보포털(EIP)의 성과를 설명하는데 보다 적합한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모형에서는 EIP 특성을 선행변수로, 사용자만족과 조직유효성 변수를 매개변수로, 그리고 EIP의 성과를 나타내는 개인성과를 종속변수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이 연구모형을 공공기관의 기업정보포털에 적용하여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실증연구 결과 EIP특성 중 사용용이성, 과정품질, 보안성이 제고되면 사용자만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용자만족은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같은 조직유효성 제고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용자만족은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함께 개인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공기관은 EIP를 도입 및 운영할 때 사용용이성, 과정품질, 보안성 제고를 통해 EIP의 사용자만족을 제고시켜 조직몰입, 직무만족 등의 조직유효성을 높이고, 이를 통하여 결과적으로 개인성과 제고는 물론, 나가서는 조직성과의 제고도 함께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roposes a research model to find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enterprise information portal (EIP) and to understand the dynamics of their effects on the performance of EIP. We considered the factors related with characteristics of EIP,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basis of the information system success model suggested by DeLone and McLean (1992). More specifically, our research model includes characteristics of EIP as antecedent variables, user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s mediators, and individual performance as dependent variable representing EIP performance. Our research model was applied to EIPs in public sector for an empirical study.
The results of empirical study show that ease of use, process quality, and security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EIP hav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user satisfaction, which, in turn, positively affect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User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lso have positive effects on individual performance.
From th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user satisfaction can be improved by increasing ease of use, process quality, and security of EIP and improved user satisfaction will lead to improvement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hich will result in increase of individual performance. This implies that we need to make our efforts to increase ease of use, process quality, and security of EIP particularly when EIPs are developed and adopted in public sector to improve user satisfaction and individual performance.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문헌연구
Ⅲ. 연구모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