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Korea’s Wage Peak Systems : Current Condition And Problems
- 발행기관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 저자명
- 박성준 김기승
- 간행물 정보
- 『인적자원관리연구』제16권 제3호, 85~10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9.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임금피크제의 도입이 명예퇴직(수량적 유연성)및 다기능화 직무의 순환(기능적 유연성)의 대안이 되고 있는지를 실증분석 한다.실증연구 결과,임금피크제를 도입한 기업일수록 정규직 감원율이 낮고 기능적 유연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한편 정부도 비록 한시적이지만 고령자 고용연장을 위해 임금피크제 도입을 지원하고 있다.우리 사회는 이미 고령화 시회에 진입했지만 우리의 현 경제상황은 고령자 고용연장을 논할 여유조차 없는 듯하다.오히려 정부는 기업 스스로 자신의 필요에 따라 도입하는 임금피크제에 대한 지원보다는 성과주의적 임금체계가 정착될 수 있는 토양 조성에 정책 역량을 쏟아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nvestigates that a wage peak system helps labor flexicurity at corporate level as a system improves flexibility in management of employees by reducing labor costs from hiring the middle-aged and the aged, which leading to hiring new employees and at the same time middle-aged and aged employees‘ job security is guaranteed. This research proves that the wage peak system reduces the lay-off rate of regular works, and also reduces functional flexibility. On the other hand, government supports the wage peak system to extend employment of aged workers in preparation for an upcoming aged society even though it is temporary. Although Korean society is growing older, it hasn’t sunken in yet while Korea‘s serious economic condition cannot afford to discuss the extension of elderly worker’s employment. If the government unreasonably intervenes in the market to carry out its original intention, the labor market is likely to bedisrupted. Thus, the government should be more cautious.
목차
국문초록
Ⅰ.문제제기
Ⅱ.연공급 임금체계
Ⅲ.임금피크제 도입 기업의 특성 분석
Ⅳ.임금피크제의 유형과 사례
Ⅴ.임금피크제 지원정책과 문제점
Ⅵ.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