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박상령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제6집, 171~178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9.12.30
국문 초록
우리말에 외국어와 외래어를 남용하는 사례가 빈번히 일어나고 있는데, 중국도 개혁과 개방의 기치를 내건 이래로 외국의 문물이 봇물 쏟아지듯 유입되는 과정에서 외국어 특히 영어의 유입은 피할 수 없는 상황이 되고 말았다. 처음에는 간단한 “OK”, “Bye bye”에서 시작되다가 전문용어, 특히 컴퓨터와 인터넷에 관련되는 용어들이 미처 손쓸 틈도 없이 여과장치 없이 사용되었고, 나중에는 대만이나 홍콩에서 유입된 영어와 섞어쓰는 새로운 형태의 字母詞를 스스럼없이 받아들였다. 이러한 용어들은 汉语의 순수성과 전통성을 유지하기 위해 규칙적인 방법을 통해 받아들여져야 할 것으로 여겨지며, 무조건 배척한다거나 사회대중이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다해서 규율화 된다면 본래 한어가 가진 고유의 특성을 잃을 것이 분명하다. 본고에서는 현재 쓰이고 있는 字母의 상황을 살펴보고 이데 따른 규범화의 방향 설정을 제시했다.
영문 초록
목차
一、 引言
二、 子母泀的性质
三、 自造字母泀
四、 借用字母泀
五、 結語
참고문헌
논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