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xperience of Paternity : Fathers of primary school aged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 저자명
- 홍길회(Hong Kil-Hoe) 황정해(Hwang Jung-Hae)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韓國幼兒敎育·保育行政硏究 제11권 제4호, 111~13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첫 자녀가 아동기에 속하는 남성을 대상으로 자녀 성장과 더불어 아버지로서 겪게 되는 자녀와의 관계 경험이나 아버지 자신의 변화 내용들, 아내와의 관계를 알아보고 남성이 경험하는 부성내용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는데, 그 결과 첫째, 자녀와의 관계 특성은 자녀와 함께 보내는 시간은 부족하지만 보충하려 노력하며, 등산ㆍ여행ㆍ운동과 같은 외적인 활동을 아버지로서의 역할이라 간주하고 이를 통해 자녀와 안정된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둘째, 아버지의 개인적인 변화 특성은 초등학교에 입학하게 되는 계기로 아버지로서 책임감이 강해지고, 자녀의 성장에 대한 만족감을 경험하며, 자신의 삶의 축이 이전 단계에 비해 가정에 놓여지고, 자녀양육 과정에서 자신의 유년기를 재경험하거나 자신의 도덕성을 발달시키기도 하고 자녀의 도덕성 발달에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셋째, 아내와의 관계 특성은 ‘부모’로서의 연대감이 강화되고, 자녀를 통해 아내를 더욱 사랑하게 되는 계기를 발견하게 되며, 자녀양육 가치관 불일치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부모로서 성장 발달해 간다. 위의 특성들을 근거로 하여 아동기자녀를 둔 아버지의 부성경험을 ‘아버지로의 올바른 모델 확립기’라고 명명할 수 있다.
영문 초록
Using ethnographic methods, this study identified the meaning of paternal experiences through I to 2 hours of individual interviews with the fathers of primary school aged children. The interviewees were 13 middle-class fathers from 35 to 45 years of age. Results showed that during the periord of paternal experiences with primary school aged children can be called "the stage of proper model-confirming as a father"; fathers think that the time with their children is dificient but they have their activites as a father; fathers feel satisfaction on their children"s growth, paly an impotant role to develop children"s morality and also recover their negative childhood experiences through fathering; fathers strengthen the bond with their wives as a parent, sometimes conflict with them on the belife of education however growth as a father.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Ⅴ. 연구 요약과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Ⅴ. 연구 요약과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