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study on logic system of "kuan"s(公案) in the Gateless Gate (無門關; Wu-wen kuan)
- 발행기관
- 보조사상연구원
- 저자명
- 김석암(Kim Seok-am)
- 간행물 정보
- 『보조사상』普照思想 第28輯, 81~115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불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8.30
국문 초록
조사선의 공안에서는 자신이 본래 갖고 있는 불성의 자각을 중시한다. 특히 조사들은 붓다가 깨닫고 달마 이래 모든 선각들이 깨달은 중도의 이치를 수단과 방법을 총 동원하여 그의 제자들로 하여금 직접 수행하여 스스로 깨닫게 하려고 한다. 따라서 공안을 읽는 사람들로 하여금 공안이 제시하는 바가 초논리적이며, 파격적인 성격을 강하게 느끼게 만들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기서 필자가 주목하는 것은 깨달음을 여는 중요한 기제(機制)로 인식되는 공안 속에서 일정한 논리형식을 발견할 수 있다는 점이다. 논리를 초월하는 깨달음의 세계를 알리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서 일정한 틀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1700개의 수많은 조사들의 공안들이 있지만, 모든 공안의 요체는 중도의 그 자리를 보게 하는 데에 맞추어져 있으며, ‘中正’의 상즉관계에 계합하는 논리형식을 취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무문관』에 나타난 공안을 중심으로 조사들의 有無에 相卽한 ‘中’과 ‘正’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그 論理體系를 밝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기서 필자가 주목하는 것은 깨달음을 여는 중요한 기제(機制)로 인식되는 공안 속에서 일정한 논리형식을 발견할 수 있다는 점이다. 논리를 초월하는 깨달음의 세계를 알리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서 일정한 틀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1700개의 수많은 조사들의 공안들이 있지만, 모든 공안의 요체는 중도의 그 자리를 보게 하는 데에 맞추어져 있으며, ‘中正’의 상즉관계에 계합하는 논리형식을 취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무문관』에 나타난 공안을 중심으로 조사들의 有無에 相卽한 ‘中’과 ‘正’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그 論理體系를 밝힌다.
영문 초록
Zen-master used whatever methods if they are helpful to enlight his disciples, so in the methods, there are very odd ones in common view as like shouting, hiting, etc.
For that reason, We think that kuan(公案) which is a riddle that zen masters give to enlight zen-practicer is also non-logical.
But I think kuan has special logic system. For kuan is for the enlightment of middle way(中道), kuan has the logic form to enlight middle way.
In this paper, we shall see the logic system of koan in the Gateless Gate (無門關; Wu-wen kuan) to test above hypotheses.
For this aim, we examine the logic of the kuans in the Gateless Gate as like 1) Case 1: J?sh?"s "Mu", 2) Case 3: Gutei Raises a Finger, 3) Case 5: Ky?gen"s "Man up in a Tree", 4) Case 7: J?sh?"s "Wash Your Bowl", 5) Case 10: Seizei Is Utterly Destitude, 6) Case 11: J?sh? Sees the Hermits 7) Case 14: Nansen Cuts the Cat in Two 8, 8) Case 18: T?zan"s "Masagin".
All zen master" enlightment is to enlight the truth of midle way which being is not different to non-being, or being is same to non-being. Zen-masters say about being to the man who attaches to non-being, and non-being to the man who attaches to being, the absolute to the man who attaches to a phenomenon and so on.
For this reason, the kuan of J?sh?"s "Mu" say that there is not the buddha nature of a dog, though there is the buddha natu re of a dog. We can enlight the truth of middle way through the logic of kuan.
For that reason, We think that kuan(公案) which is a riddle that zen masters give to enlight zen-practicer is also non-logical.
But I think kuan has special logic system. For kuan is for the enlightment of middle way(中道), kuan has the logic form to enlight middle way.
In this paper, we shall see the logic system of koan in the Gateless Gate (無門關; Wu-wen kuan) to test above hypotheses.
For this aim, we examine the logic of the kuans in the Gateless Gate as like 1) Case 1: J?sh?"s "Mu", 2) Case 3: Gutei Raises a Finger, 3) Case 5: Ky?gen"s "Man up in a Tree", 4) Case 7: J?sh?"s "Wash Your Bowl", 5) Case 10: Seizei Is Utterly Destitude, 6) Case 11: J?sh? Sees the Hermits 7) Case 14: Nansen Cuts the Cat in Two 8, 8) Case 18: T?zan"s "Masagin".
All zen master" enlightment is to enlight the truth of midle way which being is not different to non-being, or being is same to non-being. Zen-masters say about being to the man who attaches to non-being, and non-being to the man who attaches to being, the absolute to the man who attaches to a phenomenon and so on.
For this reason, the kuan of J?sh?"s "Mu" say that there is not the buddha nature of a dog, though there is the buddha natu re of a dog. We can enlight the truth of middle way through the logic of kuan.
목차
국문 초록
Ⅰ. 서론
Ⅱ. 『무문관』공안의 요체
Ⅲ. 유무와 상즉의 개념
Ⅳ. 『무문관』公案의 논리체계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Ⅰ. 서론
Ⅱ. 『무문관』공안의 요체
Ⅲ. 유무와 상즉의 개념
Ⅳ. 『무문관』公案의 논리체계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