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연결어미 {-느라고}의 형성과정에 대한 연구

이용수 634

영문명
The Formation Process of Connecting Ending ‘-nulako’ shown in the 19th Century
발행기관
한국언어문학회
저자명
안주호(Ahn Joohoh)
간행물 정보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62輯, 97~121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9.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investigating the formation process of connecting ending, {-nulako} indicating [reason, cause] in modern Korean language. The semantic function of {-nulako} can be understood in terms of [PURPOSE], [SIMULTANEITY], and [REASON]. The meanings are divid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vent time of preceding clause and succeeding clause. The {-nulako} seems to have been formed by combining {-nola} indicating [simultaneity] with complementizer [-ko]. This can be confirmed by the appearance of {-nolako} in most of the earlier literatures where the {-nulako} was first shown up, and by the pan-linguistic observation of semantic extension of [simultaneity] to [reason] from the perspective of grammaticalization.

목차

1. 머리말
2. 국어 연결어미의 형성과정
3. 연결어미 {-느라고}의 특징
4. 연결어미 {-느라고}의 형성과정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주호(Ahn Joohoh). (2007).연결어미 {-느라고}의 형성과정에 대한 연구. 한국언어문학, 62 , 97-121

MLA

안주호(Ahn Joohoh). "연결어미 {-느라고}의 형성과정에 대한 연구." 한국언어문학, 62.(2007): 97-121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