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lio-Pleistocene Crocutoid Hayena fossils in the Far Eastern Asia With Special Reference to fossils from China and Korea
- 발행기관
- 한국고대학회
- 저자명
- 박선주(Park Sun-Joo)
- 간행물 정보
- 『선사와 고대』先史와 古代 25輯, 141~16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2.01
국문 초록
동북아시아에서는 중기 플라이스토세에 살았던 몸집 큰 하이에나는 당시의 환경과 연대를 추정하기 위한 기준화석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하이에나과에 속하는 짧은 턱 하이에나(Corcutoid Hyaena : Hyaena brevirostris) 가 그 중 하나이다.
유라시아 대륙에서 플라이오-플라이토세 시기에 살던 하이에나는 살아있는 종인 hyaena와 brunnea를 포함해서 두 개의 속인 Pachycrocuta와 KRETZOI (Pliocrocuta KRETZOI 포함)와 Hyaena BRISSON으로 구분된다. Pachycrocuta와 Hyaena의 해부학적 차이는 크게 마지막 아래 옆니와 아래 가위이빨 길이에 있다 ; 즉 M₁ 길이:P₄ 길이의 비율에서 볼 때 Pachycrocuta의 비율이 Hyaena의 비율보다 뚜렷하게 크다는 점이다.
앞에서 언급한 이빨의 해부학적 특징을 지닌 플라이오-플라이스토세(특히 중기 플라이스토세)시기 중 중국과 한국 등지에서 출토된 짧은 턱 하이에나로 알려진 크로쿠타형 하이에나는 Hyaena 속이 아닌 속 Pachycrocuta(e.g. P. brevirostris)로 분류하는 것이 적절한 분류이다.
유라시아 대륙에서 플라이오-플라이토세 시기에 살던 하이에나는 살아있는 종인 hyaena와 brunnea를 포함해서 두 개의 속인 Pachycrocuta와 KRETZOI (Pliocrocuta KRETZOI 포함)와 Hyaena BRISSON으로 구분된다. Pachycrocuta와 Hyaena의 해부학적 차이는 크게 마지막 아래 옆니와 아래 가위이빨 길이에 있다 ; 즉 M₁ 길이:P₄ 길이의 비율에서 볼 때 Pachycrocuta의 비율이 Hyaena의 비율보다 뚜렷하게 크다는 점이다.
앞에서 언급한 이빨의 해부학적 특징을 지닌 플라이오-플라이스토세(특히 중기 플라이스토세)시기 중 중국과 한국 등지에서 출토된 짧은 턱 하이에나로 알려진 크로쿠타형 하이에나는 Hyaena 속이 아닌 속 Pachycrocuta(e.g. P. brevirostris)로 분류하는 것이 적절한 분류이다.
영문 초록
At present the ‘crocutoid hyaenas’ from the Middle Pleistocene deposits of the Eurasia have been used as a index fossil to reconstruct the paleoenvironments and to determine the dates of Middle Pleistocene deposits in the Far Eastern Asia, especially, China and Korea. In recent years the large ‘crocuoid hyaena’ remains from several Middle Pleistocene localities in the Far Eastern Asia have been attributed by several authors to more primitive species of the genus Hyaena. It appears that this large ‘crocuoid hyaenas’ do not belong to the same lineage as extant genus Hyaena and must be referred to the genus Pachycrocuta.
Pachycorcuta is distinguished from Hyaena in respect to certain dental indices such the ratio of M₁/P₄. Based on the dental characteristics, the large crocuoid hyaenas from the Middle Pleistocene deposits of China and Korea must be referred to the genus Pachycrocuta(e.g. P. brevirostris) rather than the genus Hyaena(H. brevirostris).
Pachycorcuta is distinguished from Hyaena in respect to certain dental indices such the ratio of M₁/P₄. Based on the dental characteristics, the large crocuoid hyaenas from the Middle Pleistocene deposits of China and Korea must be referred to the genus Pachycrocuta(e.g. P. brevirostris) rather than the genus Hyaena(H. brevirostris).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하이에나과 화석의 진화관계에 관한 설명들
Ⅲ. 플라이오-플라이스토세 유라시아의 크로쿠타형 하이에나와 현생의 하이에나 하이에나 HYAENA HYENA와 하이에나 브르네아H. BRUNNEA와의 친연성
Ⅳ. 살아있는 하이에나와 절멸한 하이에나의 진화관계
Ⅴ. 맺는말
【參考文獻】
Ⅰ. 머리말
Ⅱ. 하이에나과 화석의 진화관계에 관한 설명들
Ⅲ. 플라이오-플라이스토세 유라시아의 크로쿠타형 하이에나와 현생의 하이에나 하이에나 HYAENA HYENA와 하이에나 브르네아H. BRUNNEA와의 친연성
Ⅳ. 살아있는 하이에나와 절멸한 하이에나의 진화관계
Ⅴ. 맺는말
【參考文獻】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