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pay-for-performance on motivation in team-based work systems
- 발행기관
- 한국인사관리학회
- 저자명
- 박종혁(Jong-hyuk Park) 권석균(Seog-Kyeun Kwun)
- 간행물 정보
- 『조직과 인사관리연구』인사관리연구 제30집 3권, 87~119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9.01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팀제를 실시하고 있는 기업에서 개인의 성과 및 조직공헌도에 따라 차별적 보상을 실시하는 성과주의 보상시스템의 동기부여 효과 향상 방안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성과주의 보상시스템의 제반 특성이 직접적 동기부여 효과로서 직무수행노력의 증진과 간접적 동기부여 효과로서 역량개발노력의 증진에 어느정도 기여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팀제로 인한 새로운 과업특성이 성과주의 보상시스템의 동기부여 효과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였다.
연구표본으로서 14개 기업, 27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으며, 회귀분석 및 계층적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평가기준 적정성, 평가 피드백 제공, 보상차등화 적정성, 성과급 비중의 적정성, 그리고 평가-보상의 연계성이 직무수행노력의 증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역량개발노력의 증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팀제과업의 주요 특성인 과업상호의존성 및 직무재량권의 정도는 성과주의 보상시스템과 직무수행노력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역량개발노력에 대한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표본으로서 14개 기업, 27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으며, 회귀분석 및 계층적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평가기준 적정성, 평가 피드백 제공, 보상차등화 적정성, 성과급 비중의 적정성, 그리고 평가-보상의 연계성이 직무수행노력의 증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역량개발노력의 증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팀제과업의 주요 특성인 과업상호의존성 및 직무재량권의 정도는 성과주의 보상시스템과 직무수행노력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역량개발노력에 대한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eeks to highlight the conflicting roles of the pay-for-performance system in motivating employees who experience changes in task characteristics by adopting team-based work systems.
Particular attention has been given to the moderating effects of task characteristic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ay-for-performance system and work motivation.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es of the survey data from 271 employees in 14 firms demonstrated that the work effort motivation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perception of proper appraisal criteria, feedback, adequacy of the pay distinction, proper ratio of incentives in total compensation, and performance-contingent rewards. Through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ask interdependency and self-determination on the job made the moderating effects between the several evaluation and reward factors and work effort motivation.
Some implications,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Particular attention has been given to the moderating effects of task characteristic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ay-for-performance system and work motivation.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es of the survey data from 271 employees in 14 firms demonstrated that the work effort motivation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perception of proper appraisal criteria, feedback, adequacy of the pay distinction, proper ratio of incentives in total compensation, and performance-contingent rewards. Through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ask interdependency and self-determination on the job made the moderating effects between the several evaluation and reward factors and work effort motivation.
Some implications,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목차
요약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가설
3. 연구의 설계
4. 연구결과
5.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가설
3. 연구의 설계
4. 연구결과
5.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