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nceptual understanding of resilience and instructional suggestion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홍은숙(Hong Eun Suk)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41권 제2호, 45~6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9.01
국문 초록
이 논문에서는 위험 요인에 노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건강하게 성장한 아동들에 대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들의 발달을 긍정적으로 이끈 개인적 특징과 환경적 요인들을 고찰하였다. 역경을 극복하고 성공적으로 적응한 아동을 탄력성(resilience)이 높은 아동이라고 하는데, 탄력성은 일반적인 발달은 물론 장애아동을 이해하고 교육하는데 매우 유용한 개념이다. 지금까지 이루어진 많은 탄력성 연구들을 통해 아동의 발달을 저해하는 위험 요인은 물론 위험 요인의 부정적인 영향을 상쇄시켜 긍정적인 발달을 촉진하는 보호 요인들이 밝혀졌다. 이에 따르면 위험 요인은 낮은 지능, 까다로운 기질, 낮은 자존감, 불리한 가정 환경,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 사회적 지원체계의 결핍 등이며, 보호 요인은 높은 지능, 긍정적인 자아감, 부모와의 안정적 관계, 올바른 양육방식, 사회적 지원의 가용성 등이다. 이와 같은 위험 요인과 보호 요인은 문제 행동에 대한 예방 프로그램 및 중재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가 된다. 이에 따라 발달 위험에 처한 아동 및 장애 아동의 탄력성을 촉진하기 위한 중재 방향과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해서 논의해 보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factors that children at risk to grow up positively. Those who, though exposed to risk factors and significant stress, do not succumb to adversities and adapt well are called resilient. Resilience is a useful concept to understanding and instructing children with handicap as well as normal children. Numbers of resilience-studies have identified several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that contribute to resilience. Both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can be grouped into three major categories: personal factors, factors within the family, factors outside the family. Risk factors include low intelligence, difficult temperament, low self-esteem, a disordered family, low socioeconomic status, a lack of social support system etc., protective factors include high intelligence, positive self-esteem, social competence, problem-solving skills, stable parents-child attachment and interaction, supportive family milieu, strong and broad family system, social support system etc. These findings provide valuable materials in developing programs for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problem behaviors. Finally instructive suggestions for fostering individual"s resilience of children at risk and children with handicap were made.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탄력성의 개념적 이해
Ⅲ. 탄력성 연구
Ⅳ. 위험 요인과 보호 요인
Ⅴ. 탄력성 증진을 위한 중재 방향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Ⅰ. 서론
Ⅱ. 탄력성의 개념적 이해
Ⅲ. 탄력성 연구
Ⅳ. 위험 요인과 보호 요인
Ⅴ. 탄력성 증진을 위한 중재 방향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