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울진방언 성조와 음조에 대한 연구

이용수 54

영문명
A Study on the Tone of Uljin Dialect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강흥구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어문연구 제43집, 31~5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3.12.0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this article, we compared the tone systems with its realization, that is pitch pattern various tonological phenomena of Uljin Dialect of Gyeongbuk Province. For the dscription of tone systems in phonological level, we employed markedness theory and generative tonology. In the underlying level, Uljin dialect are three tone systems which consist of one unmarked tone, and two marked tones (cheuk-sheongs). The unmarked tone is H (the plain tone) and two marked tones are M (the phonetically simple tone), and H (the phonetically complex tone). The plain tone H permits the opposition of H and M in the following syllable. And the marked tones are neutralized as M in the environment of 'H --'. Any tone (H, M or H ) is neutralized as M in the environment of '{M, H} -'. The relation between three traditional tones and three underlying tones is as is the following table. Because of the neutralization effect. the kinds of tone - connection, tonological patterns, are extremely restricted in a prosodic word. Thus we can find three tonological patterns - phyeong - cheuk pattern, complex tone pattern H1M"', geosheong pattern 'M1' and shangsheong pattern 'H' in Uljin dialect. The tonological patterns of the two dialects are

목차

울진방언 성조와 음조에 대한 연구
1. 머리말
2. 성조 및 성조형과 중화 현상
3. 성조와 음조 실현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흥구. (2003).울진방언 성조와 음조에 대한 연구. 어문연구, 43 , 31-52

MLA

강흥구. "울진방언 성조와 음조에 대한 연구." 어문연구, 43.(2003): 31-52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