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패션 브랜드의 가격 투명성 차원 인식이 태도에 미치는 영향: 진정성, 호의, 역량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54
- 영문명
- The Effects of Price Transparency Dimensions on Attitudes toward Fashion Brand: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Integrity, Benevolence, and Competence
- 발행기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현화 이민선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제37권 제2호, 67~8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패션 브랜드가 제공하는 가격 형성 관련 정보에 대한 소비자의 투명성 지각을 규명하고, 그 투명성이 브랜드 신뢰 구조 및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 가격 투명성 차원이 패션 브랜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브랜드 신뢰 구조인 진정성, 호의, 역량을 매개변수로 하여 분석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662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SPSS 29.0와 SmartPLS(ver.4.0)를 활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응답자들은 가격 투명성을 다섯 가지 차원(접근성, 이해성, 적시성, 관련성, 질)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각 가격 투명성 차원은 브랜드 신뢰 구조의 하위 요소(브랜드 진정성, 브랜드 호의, 브랜드 역량)에 모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브랜드 신뢰 구조는 가격 투명성과 브랜드 태도와의 관계에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였다. 또한, 각 브랜드 신뢰 구조 요소는 브랜드 태도에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가격 정보의 투명성은 단순한 정보 제공을 넘어 소비자와의 신뢰 형성에 기여하며, 브랜드 태도를 함양 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본 연구 는가격 정보 공개의 투명성 차원을 중심으로 패션 산업 내 브랜드 신뢰 구조와 소비자 반응을 연구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dimensions of transparency that consumers perceive in fashion brands' price formation disclosures and how they affect their attitudes toward fashion brands, mediated by the brand trust constructs of integrity, benevolence, and competence. Price transparenc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defining effect on brand integrity, benevolence, and competence. Brand trust structure had direct significant effect on brand attitudes. The mediating effects of trust structure were supported between price transparency and brand attitude. By analyzing the effects of price transparency dimensions on consumers' attitudes toward brands and trust struc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consumers' perceptions of fashion brands' information disclosure, which can contribute to fashion brands' strategy formulation regarding price transparency and information provision and operation methods of companies with important valu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A Study on Ren Bishi’s Thought on the Work of the Youth League
- An Analysis of India’s Arctic Strategy from the Perspective of Indian Think Tanks
- Family Matters at Work: The Impact of Marital and Caregiving Roles on Employee Wellbeing Across Age Group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