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AI 코스웨어 ‘Reading Progress’ 활용 영어 읽기 활동에서 교사 피드백이 초등학습자의 읽기 유창성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영문명
The Effect of Teacher Feedback on Elementary Students’ Reading Fluency and Affective Domains in English Reading Activities Using AI Courseware ‘Reading Progress’
발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저자명
김은송 안경자 곽현석
간행물 정보
『교과교육학연구』제29권 제3호, 169~182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AI 코스웨어인 Microsoft Teams의 ‘Reading Progress’를 활용한 영어 읽기 활동에서, 교사 피드백 유형이 초등학습자의 읽기 유창성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6학년 학습자들은 동일한 AI 코스웨어를 사용하였으며, 교사 피드백에 따라 무선할당되어 [집단 1]은 교사 피드백 없이 AI 피드백만 받고, [집단 2]는 교사의 인지·교정적 피드백, [집단 3]은 교사의 정서·동기적 피드백을 추가로 제공받았다. 읽기 유창성에 대한 반복측정 분산분석 결과, 세 집단 모두 읽기 유창성(읽기 속도와 정확성)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으나, 피드백 유형에 따른 집단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정의적 영역에 대한 공분산분석 결과 통계적 차이는 없었지만, 학습자 소감문을 통해 [집단 2]와 [집단 3]에서 교사의 실재감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확인되었다. 아울러 교사 인터뷰를 통해 학교 교육에서의 AI 코스웨어 기반 개별 맞춤형 교수학습의 가능성과 과제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AI 시대 교사의 역할을 조명하고, 효과적인 교사 피드백 제공 방안을 탐색함과 동시에, AI와 교사의 상호작용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teacher feedback on elementary students’ reading fluency and affective domain using Microsoft Teams’ Reading Progress, an AI courseware. Three 6th grade groups used the same AI courseware: Group 1 received only AI feedback; Group 2 received additional cognitive and corrective feedback from the teacher; Group 3 received addi tional emotional and motivational feedback from the teacher. As a result of the repeated measures ANOVA of reading fluency, all group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reading fluency (words correct per minute and accuracy rate), but there was no differ ence between groups in accordance with the teacher feedback types. ANCOVA on the effects of teacher feedback in the affective domain also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However, students in Groups 2 and 3 expressed positive feelings about the teacher’s presence and support in their written reflections. A follow-up interview with the participating teacher revealed both the potential and challenges of using AI courseware for personalized learning in school settings. This study sheds new light on the role of teachers in the AI era. It explores the possible ways to provide effective teacher feedback, and provides implications for the interaction between AI and teachers.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송,안경자,곽현석. (2025).AI 코스웨어 ‘Reading Progress’ 활용 영어 읽기 활동에서 교사 피드백이 초등학습자의 읽기 유창성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교과교육학연구, 29 (3), 169-182

MLA

김은송,안경자,곽현석. "AI 코스웨어 ‘Reading Progress’ 활용 영어 읽기 활동에서 교사 피드백이 초등학습자의 읽기 유창성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교과교육학연구, 29.3(2025): 169-1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