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놀이중심 교육 실행을 위한 교사학습공동체의 운영과정과 의미 -하늘초병설유치원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484
- 영문명
- A case study on management of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and its meaning for implementation of play-based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진다정(Jin, Da-Jeong) 이승연(Lee, Seung-Yeon)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3권 제2호, 26~57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들이 원내에서 놀이중심 교육 실행을 위한 교사학습공동체를 운영해가는 과정과그 의미에 대해 탐색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하늘초병설유치원에서 구성된 교사학습공동체의 교사 5명이며, 단일사례연구로 진행되었다. 연구기간은 2019년 3월부터 2020년 3월까지였으며, 참여관찰, 면담, 교사저널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나선형 자료분석 방법(Creswell, 2010)을 기반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하늘초병설유치원의 교사학습공동체는 형성기, 침체 및 재정비기, 활성화기, 유지발전기의 운영단계를 거쳤으며, 각 단계별로 열정적 교사와 민주적 학교문화와의 만남, 비전과목적의 재정립, 협력적 학습과 실천의 공유, 목적달성과 재도약을 위한 준비라는 특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하늘초병설유치원의 교사들은 교사학습공동체가 부담과 기대를 동시에 가지게 하고, 직면한 문제를해결할 수 있는 도움을 제공하며, 동료들과 함께 성장해가는 원동력이 되고, 신뢰와 소통을 기반으로 정서적안정감을 제공하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치원 교사들이 동료들과 원내교사학습공동체를 운영하면서 중요한 교육적 현안을 해결하고, 유치원 교사로서 전문성을 높이며, 공동체적유치원 문화를 확산시킬 수 있으므로 다양한 차원에서 활성화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process of managing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and meaning it has in a kindergarten. Five teachers in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composed of the Haneul elementary school kindergarten class located in P Metropolitan City participated in the study, which was conducted as a single case study. The study was conducted over the time period of March 2019 to March 2020, and data from participation observation, interviews, and teachers’ journals was collected. This collected data was then analyzed through a spiral procedure as proposed by Creswell (201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of the kindergarten went through four operative stages of formation, stagnation and reorganization, activation, and maintenance and development. Each of the stages was characterized as the combination of passionate teachers and democratic school culture, redefining of the community’s visions and goals, teachers’ cooperative learning and practice, and the preparation for goal achievement respectively. Second, the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gave them both burdens and expectations, but also allowed them to collaborate more to face shared problems and communicate more effectively with each other as to improve emotional stability based on trust and communication among them..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e importance of managing various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in that they are extremely beneficial for kindergarten teachers as they allow the teachers to better collaborate with colleagues, solve important educational issues, and increase teachers’ professionalism.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국내 영어교육 연구동향: LDA 토픽모델링과 체계적 문헌 분석을 중심으로
- 교사다움의 무게를 견디며 : 신규교사의 감정소진과 정체성 위기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전문상담교사의 학부모·학생 폭력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