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만1세와 만2세 학급 교사의 영아 또래 상호작용과 교사 지원에 대한 인식
이용수 183
- 영문명
- Infant teachers’ perceptions of young children’s interactions with peers and teachers’ support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한영미(Han, Young-Mi)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3권 제2호, 58~88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만1세와 만2세 학급 교사의 영아 또래 상호작용 및 교사 지원에 대한 인식을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인천 지역 어린이집의 만1세와 만2세 18학급에서 영아의 또래상호작용과 교사의 지원 행동을 촬영하고, 각 학급의 담임 교사 2명씩 총 36명을 대상으로 영상자극 회상면담을 하였다. 면담에서 수집한 자료는 텍스트로 전사한 뒤에 Netminer를 이용하여 텍스트 연결망 분석 및토픽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만1세와 만2세 학급 교사는 영아 또래 상호작용과 교사의 지원에서놀이를 중요한 요소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만1세와 만2세 학급 교사들이 공통적으로놀이를 통한 영아 또래 상호작용의 중요성, 영아 또래 상호작용에서 감정 표현의 중요성, 영아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가정의 영향력, 영아 개인적 특성을 고려한 지원의 중요성, 영아 또래 상호작용에의 성별 차이에대해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아 또래 상호작용과 지원에서 만1세 학급 교사는 안전과 일상생활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만2세 학급 교사는 교사의 개입과 감정의 언어 표현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나타났다. 본 연구는 만1세와 만2세 학급 교사의 영아 또래 상호작용과 교사의 지원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영아 교사 교육 내용 및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infant teachers’ perceptions of young children’s interactions with peers and teachers’ supports for the children. The study focused on 36 child care teachers from 18 classes of 1- and 2-year-old infants which centers were located in the Seoul, Gyeonggi, and Incheon provinces. Video on peer interactions among infants and teachers’ supports for them was recorded in the context of play and daily routines in the child care centers.
Video-stimulated recall interviews were also conducted to gain teachers’ perspectives on peer interactions and their supports for young children.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ased on text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analysis using Netminer. Firstly, the study found that the teachers tended to consider play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peer interactions and teachers’ support. Secondly, they tende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eer interactions through play, emotional expressions in the interactions, and the influences of parents on peer interactions. They also perceived the importance of teacher support considering infant children’s individual needs as well as gender differences. Additionally teachers of 1-year old infant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safety and daily routines for their children while those of 2-year old children emphasized the significance of teacher interventions and verbal expressions of emotions. Overall,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pands the understanding of teachers’ perceptions on peer interactions among infants and their suppor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국내 영어교육 연구동향: LDA 토픽모델링과 체계적 문헌 분석을 중심으로
- 교사다움의 무게를 견디며 : 신규교사의 감정소진과 정체성 위기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전문상담교사의 학부모·학생 폭력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