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문화적 전망에서 본 새터민 복지 정책의 방향
이용수 13
- 영문명
- A Study on the Directions of Welfare Policy for Defectors from North Korea from a Cross-Cultural Perspective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복지학회
- 저자명
- 신현수
- 간행물 정보
- 『복지와 문화다양성연구』다문화가족연구 제1집, 147~16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4.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통문화적 전망에서 새터민 이 한국사희에서 인간다운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복지정책의 방향을 경제적 삶에 초점을 두고 살핀다. 먼저 관련 문헌 연구를 통해 다양한 문화들이 각각의 고유한 특성을 인정하고 서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새로운 문화로 발전시켜 가야 한다는 7통문화적 전망 을 정의한다. 그런 다음, 새터민 정착을 위한 정부의 복지정책의 현황을 살핀다. 이것은 정착금, 취업보호지원과 직업훈련지원, 주거지원, 생계급여, 의료보호지원, 국민연금 등으로 구분된다. 이어서 정부의 새터민 복지정책의 문제점을 분석한다. 현재의 복지정책이 새터민이 자활 하는데에 실제적 효과가 적다. 그것은 주로 짧은 기간동안에 남한의 직업 문화에 동화시키려 하고, 그들이 단지 기초생활보호의 대상으로만 여기고 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정부가 시행하고 있는 새터민 복지정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그 방안은 새터민의 독특한 직업 문화를 인정하고, 그들을 자유이주민으로 대우하며, 그들에게 실제적이고 효과적인 직업 정보를 제공하고, 직업훈련을 철저히 시키고, 그들이 안정된 직장 생활을 하도록 사회 정책적 제도를 마련하는것 등이다.
영문 초록
목차
I. 서 론
II. 통문화적 전망 의 정의
III. 새터민 복지 정책의 현황
IV. 새터민 복지 정책의 문제점
V. 새터민 복지 정책의 문제점 해결 방안
VI.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Increasing Multicultural Understanding and Effective Communication Styles
- 다문화 미국사회의 언어정책논쟁
- 통문화적 전망에서 본 새터민 복지 정책의 방향
- 일본의 외국인노동자 유입실태와 사회반응
- 한[韓] · 중[中] 다문화 가정의 문화적 결합구조 분석
- 다문화 아동의 문화적 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일본 야마가타[山形]현의 다문화가족 지원시스템에 관한 사레연구
- 인종주의 공포 속 혼성성의 의미 - 영화 <수취인 불명> <파이란>을 중심으로 -
- 결혼이주자 가족정책 및 서비스 분석 모형
- 다문화사회의 통합과 지역 거버넌스
- 문화 및 문화다양성의 본질과 다문화 복지에의 시사점
- 새터민 주거복지전달체계 개선연구
- 다문화청소년의 복지증진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직업능력이 장애인 근로자의 일상생활만족에 미치는 효과 분석: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한국복지경영학회의 도전과 과제
- 요양시설 인권교육과 서비스 품질과의 관계에서 요양보호사의 인권감수성과 인권컴플라이언스의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