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 미국사회의 언어정책논쟁
이용수 35
- 영문명
- The Politics of Language in American Society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복지학회
- 저자명
- 김남균
- 간행물 정보
- 『복지와 문화다양성연구』다문화가족연구 제1집, 31~5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4.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여러 인종과 다양한 언어집단으로 구성된 다문화 사회에서는 어떤 언어정책을 택해야 하는가? 다수가 사용하는 언어를 공식 언어로 선택할 것인가 아니면 소수자들이 사용하는 언어도 공식어로 함께 사용할 것인가? 이와 같은 질문에 답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대표적인 다문화 사회인 미국 사회의 언어정책을 둘러싼 논쟁을 살펴보았다.
건국 초부터 영어를 관습상의 공식어로 사용하던 미국은 I960년대 민권법이 나온 이후 소수자들의 언어권을 인정하여 이중언어교육(bilingual education)과 소수어 보호정책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현행 미국 연방정부의 언어정책에 대해서는 찬반 논쟁이 뜨거운 상태이다. 미국사회의 언어정책과 그에 대한 논쟁은 다문화 사회로 급격히 이행하고 있는 우리나라도 국어 이외 소수자 집단이 사용하는 소수자 언어에 대해서도 유연한 정책을 취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과 동시에 그것은 심각한 찬반 논쟁을 불러 올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논쟁이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우리 사회도 다문화 사회를 필연적 변화로 수용한다면 언어정책 역시 다문화 사회에 맞는 정책으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 본 논문의 결론이다.
영문 초록
목차
I. 머리말
II. 민권과 소수자 언어
III. 언어정책 논쟁
IV.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Increasing Multicultural Understanding and Effective Communication Styles
- 다문화 미국사회의 언어정책논쟁
- 통문화적 전망에서 본 새터민 복지 정책의 방향
- 일본의 외국인노동자 유입실태와 사회반응
- 한[韓] · 중[中] 다문화 가정의 문화적 결합구조 분석
- 다문화 아동의 문화적 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일본 야마가타[山形]현의 다문화가족 지원시스템에 관한 사레연구
- 인종주의 공포 속 혼성성의 의미 - 영화 <수취인 불명> <파이란>을 중심으로 -
- 결혼이주자 가족정책 및 서비스 분석 모형
- 다문화사회의 통합과 지역 거버넌스
- 문화 및 문화다양성의 본질과 다문화 복지에의 시사점
- 새터민 주거복지전달체계 개선연구
- 다문화청소년의 복지증진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직업능력이 장애인 근로자의 일상생활만족에 미치는 효과 분석: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한국복지경영학회의 도전과 과제
- 요양시설 인권교육과 서비스 품질과의 관계에서 요양보호사의 인권감수성과 인권컴플라이언스의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