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백서(白鼠) 뇌조직(腦組織)에서 Morphine의 Saturable Binding에 미치는 전해질(電解質)의 영향(影響)
이용수 0
- 영문명
- Effect of Electrolytes on the Saturable Binding of Morphine in Rat Brain Tissue
- 발행기관
- 대한약리학회
- 저자명
- 고복현(Bok-Hyun Ko) 채수완(Soo Wan Chae) 조규박(Kyu Park Cho)
- 간행물 정보
- 『대한약리학잡지』제18권 제2호, 33~44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82.12.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전해질농도(電解質濃度)를 달리하고 morphine, naloxone 또는 morphine+naloxone을 가(加)하거나 가(加)하지 않은 modified Krebs-Henseleit bicarbonate buffer용액(溶液)에 흰쥐의 뇌절편(腦切片)을 incubate하여 저온처리(低溫處理)와 media내(內) 전해질조성(電解質組成)이 (3H)-morphine의 saturable binding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관찰(觀察)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成績)을 얻었다. 1) 저온처리(低溫處理)는 (3H)-morphine의 saturable binding을 현저(顯著)히 증가(增加)시켰고, maximal saturable binding은 증가(增加)시키나 KD치(値)에는 영향(影響)을 미치지 못하였다. 2) 저온처리시(低溫處理時) media내 morphine과 naloxone은 (3H)-morphine 의 maximal saturable binding 과 KD치(値)를 증가(增加) 시켰다. 3) 저온처리시(低溫處理時) media내(內) K+감소(減少), Mg++제거 또는Mn++첨가(添加)는 (3H)-morphine의 saturable binding을 현저(顯著)히 증가(增加)시켰고, Na+감소(減少), Ca++증가(增加)는 saturable binding에 영향(影響)을 미치지 못하였다. 4) 저온처리시(低溫處理時) media내(內) morphine에 의한 (3H)-morphine의 saturable binding증가(增加)는 media내(內) Na+감소(減少), K+감소(減少), Mg++제거 또는 Mn++첨가(添加)로는 영향(影響) 받지 않았으나 Ca++증가(增加)로 억제(抑制)되었고, media내(內) naloxone에 의한 saturable binding증가(增加)는 Mn++첨가(添加)는 영향(影響)받지 않았으나 media내(內) Na+감소(減少), K+감소(減少), Ca++증가(增加) 또는 Mg++제거로 억제(抑制)되었다. 이상(以上) 실험성적(實驗成績)은 저온처리(低溫處理) 및 저온처리시(低溫處理時) media내(內) morphine 또는 naloxone이 opiate수용체(受容體)의 양적(量的)인 변동(變動)과 또는 친화력(親和力)의 변동(變動)을 유발(誘發)하며, media내(內) 전해질조성(電解質組成)이 이들 변동(變動)에 영향(影響)을 미침을 시사(示唆)한다.
영문 초록
The binding in vitro of an opiate agonist, (3H)-morphine, was studied using rat brain slices which were incubated in the modified Krebs-Henseleit bicarbonate buffer solution containing various concentrations of electrolytes with or without morphine, naloxone or morphine+naloxone at 4˚C for 24 hours. The binding of (3H)-morphine may be seperated into two component; one a saturable binding and the other nonsaturable. The saturable binding may be calculated from the differences in binding observed in the absence and presence of high concentration of morphine. The maximal saturable binding and KD value in the naive preparations were 0.32 ± 0.02 pmole/mg protein and 0.75 ± 0.07 nM respectively. The saturable binding of (3H)-morphin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low temperature-treatment, while KD value was not changed. Morphine in the incubation media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aturable binding of (3H)-morphine and KD value. Naloxone also increased the maximal saturable binding of (3H)-morphine and KD value of the drug. Decrease of K+ and Mg++, and addition of Mn++ in the incubation media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aturable binding of (3H)-morphine, but decrease of Na+and increase of Ca++ in the incubation media did not influence the binding. The increment of the saturable binding of (3H)-morphine by nonlabeled morphine in the incubation media was notaffected by decrease of Na+, K+ or Mg++, or addition of Mn++ into the incubation media, but was inhibited by increase of Ca++ in the incubation media, while the increment of the saturable binding of (3H)-morphine was net observed by decrease of Na+, K+ or Mg++, or increase of Ca++ in the incubation media. The above results indicate that change of opiate binding sites in quality, i.e. affinity, and quantity, i.e. number of binding sites, may occur by low temperature-treatment in the absence and presence of morphine or naloxone and that electrolytes play role of the changes of opiate binding site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α1-Adrenoceptor Agonist로서의 Oxymetazoline -가토혈압(家兎血壓) 상승작용(上昇作用)-
- 가토 적혈구 세포막 Na+, K+-ATPase활성에 미치는 Carbachol의 영향
- Higenamine이 심근 Sarcoplasmic Reticulum의 칼슘운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정신분렬병의 혈소판 Monoamine Oxidase 활성도에 관한 연구
- Phenytoin과 Phenobarbital이 뇌내(腦內) Catecholamine함량(含量)과 혈장(血漿) Corticosterone치(値) 변동(變動)에 미치는 영향(影響)
- 신열판실험방법(新熱板實驗方法)에 의(依)한 Naloxone과 Diazepam이 Morphine 진통효과(鎭痛效果)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한 검색(檢索)
- 백서(白鼠) 뇌조직(腦組織)에서 Morphine의 Saturable Binding에 미치는 전해질(電解質)의 영향(影響)
- 가토신장기능에 미치는 측뇌실내 Haloperidol의 영향
- 산소유리라디칼이 뇌조직 미크로좀분획의 Na+-K+-ATPase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 뇌졸중증(腦卒中症)에 있어서 혈소판(血少板) 응집( 凝集)의 역할에 관한 연구(硏究)
- 심근 Mitochondria의 Na+-Ca++교환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The legal regulatory structure of human biobanks in Korea: Present and future
- Twin case of infantile cortical hyperostosis (Caffey disease) with the COL1A1 mutation and literature review in Korea
- Investigating the utility of large language models for image-based rare disease phenotypi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