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Prelimina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SMCP-Based Onboard Communication Competency Evaluation
- 발행기관
- 한국항해항만학회
- 저자명
- 설진기(Jin Ki Seor) 박영수(Young-soo Park) 박용선(Yongsun Park) 김종성(Jongsung Kim) 정창현(Chang-Hyun Jung)
- 간행물 정보
- 『한국항해항만학회지』제49권 제5호, 602~609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해양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선상의사소통은 일반 의사소통과는 비교되는 환경적·직무적 특수성을 지니고 있으며, 해사영어 역시 일반 영어와는 구별되는 고유한 체계와 특수한 언어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에 따라 IMO는 국제 표준으로 표준해사통신문구(SMCP)를 제정하고, IMO 모델코스를 비롯한 다양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다국적 선원 간의 언어 장벽을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국제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를 충분히 반영할 수 있는 적절한 교육 및 평가 체계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해사영어 평가 시험을 설계하고, PHP 알고리즘(구조적 유사도)과 Sentence Transformer(BERT 기반 의미적 유사도) 모델을 활용하여 학습자의 답안을 다각도로 채점할 수 있는 체계를 연구하였다. 시험평가는 실습선에 승선한 예비 해기사 학생들을 대상으로 공통·무작위 문항에 대해 구조적·의미적 채점 방식을 활용하여 그 점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두 채점 방식 모두 Cronbach’s α 계수 0.8 이상의 신뢰도를 나타냈으며(구조적 α=0.851, 의미적 α=0.844), 혼합 채점 방식(α=0.861)에서 가장 높은 일관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표준화된 해사영어 평가 체계의 필요성과 이에 대한 해양 교육·훈련 적용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통해 다문화 기반의 해상 환경에서 적용 가능한 SMCP 기반의 의사소통 평가 체계를 제안하고자 하였으며, 향후 후속 연구와 현장 적용을 바탕으로 선상의사소통 및 선박안전운항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Onboard communication has specific environmental and occupational features that differentiate it from general communication, and Maritime English has its own distinct linguistic system. To overcome language barriers among multinational crews, the IMO introduced the Standard Marine Communication Phrases (SMCP) along with related guidelines, such as the IMO Model Courses. However, existing educational and assessment systems remain insufficient. This study developed a Maritime English assessment model that integrates a PHP algorithm for structural similarity and a Sentence Transformer based on BERT for semantic similarity, allowing for a multidimensional evaluation of learner responses. Experiments conducted with cadets on training vessels compared both scoring methods using common and randomized items. The results indicated high reliability for both approaches (structural α = 0.851, semantic α = 0.844), with the hybrid method achieving the highest consistency (α = 0.861). This study underscores the necessity of a standardized Maritime English assessment system and examines its potential application in maritime education and training. It proposes a communication assessment system based on SMCP that is suitable for multicultural crew environments at sea, anticipating that future research and field applications will enhance maritime safety.
목차
1. 서 론
2. 선상의사소통 특수성
3. 의사소통 시험 및 평가 설계
4. 시험 분석 결과
5.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Development of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for Predicting Ship Berthing States based on Model Test Data
- 전시 부산항 항만 봉쇄 피해 분석 및 복구 전략에 관한 연구
- 해운의 탄소집약도지수(CII) 실증 분석: 광양항 컨테이너선 사례 연구
- SMCP 기반 선상의사소통 역량평가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The Effects of Port Congestion on the Liners’ Operating Strategy
- 실운항 데이터를 활용한 FFT 기반의 선박 횡동요 주기 추정 알고리즘 성능 분석
- MF/HF송수신기 ATU를 위한 임피던스 정합회로 설계 연구
- 국제표준 기반 선내 경보 관리 시스템 구현
- 하이난 자유무역항과 중국 균형 발전 모델의 정책적 실험 - 하이커우, 싼야의 산업구조 및 기능 분화 특징 분석
- 심층방어개념 기반 화재위험도분석의 컨테이너 항만 적용에 관한 연구
- 컨테이너 선박의 대형화가 기항시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 타부두 환적 비중을 고려한 부산항 컨테이너터미널 효율성 분석
참고문헌
- Advances in Social Science, Education and Humanities Research
- English Language Teaching
- English Language Teaching
- International Journal of English Linguistics
- WMU Journal of Maritime Affairs
- Malaysian Journal of Medical Sciences
-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social Rehabilitation
- International Academic Social Resources Journal
- Scientific Reports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 Seatific
- Healthcare
관련논문
공학 > 해양공학분야 BEST
더보기공학 > 해양공학분야 NEW
- Development of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for Predicting Ship Berthing States based on Model Test Data
- 전시 부산항 항만 봉쇄 피해 분석 및 복구 전략에 관한 연구
- 해운의 탄소집약도지수(CII) 실증 분석: 광양항 컨테이너선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