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mparison of Perceptions on the Police Practicum Credit System between Trainees and Police officers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박현호(Hyeon-Ho Park) 조준택(Joon-Tag Cho)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12권 제2호, 89~11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8.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4년 1학기에 3개 대학에서 실시된 경찰실습학점제의 시범운영에 참여한 실습생과경찰관을 대상으로 실습프로그램의 문제점과 개선에 초점을 둔 설문조사를 실시하는 한편, 경찰대학관서실습, 미국 형사사법학과 인턴십 프로그램 사례와의 비교를 통해 보다 종합적인 관점에서 경찰실습학점제의 발전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경찰관들은 실습기간은 짧게 하더라도 주당 실습시간을 더욱 늘려서 단기간에 집중적인(intensive) 실습이 필요하다고 인식한 반면, 실습생들은 실습기간과 주당 실습시간 모두 증가시켜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경찰관들은 실습생에 비해 현장수업 비율이 이론수업보다 더 높아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실습생들은 경찰관에 비해 야간수업 비율이 주간수업 비율보다 더 높기를 희망하고 심야시간에 실습하기를 원하였으며, 이러한 집단간 응답결과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그리고실습생과 경찰관 모두 실습학점제의 평가방식으로 이수제가 적절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실습생은 실습학점으로 3학점을 부여해주기를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습생과 경찰관들을대상으로 경찰실습학점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대학과 경찰관서로부터 필요한 지원사항 등에 대하여 주관식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경찰실습학점제의 문제점으로 실습생들은 현장수업의 비중이 낮다는 점, 경찰관들은 실습생의 안전문제에 대한 대비가 부족하다는 점을 가장 큰 문제로 인식하고있었고, 공통적으로 실습시간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실습생들은 현장수업의 비중 확대, 경찰관은 실습시간 확대를 가장 많이 제기하였다. 또한 실습생과 경찰관들은 실습학점제를 개설한 대학 측으로부터 예산지원을 바라고 있었으며, 특히 경찰관들은 대학측에서 실습생에게 실습 전 사전교육을 충실히 해줄 것을 희망하였다. 그리고 실습생과 경찰관들은 공통적으로 경찰관서에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특히 경찰관들은 실습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전담인력과 예산지원, 교재 및 교수법 지원 등도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상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경찰실습학점제의 개선을 위하여 실습생의 안전문제에 대한 대비 강화, 실습시간 및 현장수업 확대,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대학과 경찰청의 투자 확대, 충분한 사전교육 및 기관간 협의, 체계적인 장기발전방안 수립 등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d on the problems and alternatives of police practicum credit system based upon the survey data gained from those trainees and police officers participated in the pilot programs at 3 different universities in South Korea. And we try to draw policy implications for development of police practicum credit system by comparison with police practice training of Korean National Police University and internship program operated by criminal justice department in the US. Findings of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Police officers perceive that more intensive practice should be implemented for the students by increasing practice hours per week and reducing the period of practice.
Compared with the trainees, policemen think that the proportion of practice-based lecture ought to be more than theory-based lecture, and students hope that portion of practices at night be more than practices in the day and they also want practices to be carried out late at night. The differences of the responses in the both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both students and police officers perceived that pass or fail system for the evaluation of students is appropriate and students want to take 3 credits in compensation with practice. We also inquire students and police officers by open-ended questions about problems, alternatives of police practicum credit system and support requirements from universities and police agencies. Trainees pointed out the little portion of practice-based lecture as the most serious problem of the system and policemen mentioned the lack of preparation for the trainees’ safety. And both group think that practice hours are insufficient. And students suggest extension of practice-based class the most as the alternatives and police officers extension of practice hours. In regard to the support from universities, both groups want budget support and policemen want the universities to carry out prior training to the students substantially. And both groups perceive that various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by the collaboration with police agencies and universities and police officers think that coordinators of programs, aid of teaching materials and teaching method to the front-line officers in charge of practice should be needed. Based on the results, to improve police practicum credit system, we can propose a couple of measures, including reinforcement of preparation for the trainees’ safety, extension of practice hours and practice-based lectures,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various programs, investment expansion by universities and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sufficient prior education and interagency coordination. And establishment of systematic and progressive plan for the future also can be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발달장애 청소년의 성폭력예방을 위한 성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 성지식, 성태도 변화를 중심으로
- 경찰실습학점제의 개선을 위한 실습생과 경찰관의 인식 비교 연구
- 야간옥외집회 및 시위에 대한 대체입법 추진은 왜 실패하였는가? : 전략적 관리의 관점을 중심으로
- 을미사변의 테러학적 고찰과 경호측면의 교훈
- 신임경찰공무원 교육과정 분석과 정책적 함의
- 충청남도 사회안전망 구축을 위한 CCTV 및 통합관제센터 설치운영에 관한 연구
- 부모의 사회통제가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공직선거 범죄에 대한 경찰의 대응상 한계와 개선방안
- 민간경비산업 관련 규제의 주요 쟁점과 자율규제방안에 관한 연구
- 관리적 보안활동과 보안인력 전문성이 기술유출방지에 미치는 영향
- 소년범죄에 대한 경찰에서의 회복적 사법의 실천방안 및 해결과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여성폭력 통합상담소 종사자의 대리외상 후 성장과 영향요인
- 사방댐의 토석류 포착 효과에 관한 정량적 분석
- The Effects of a Web-Based Simulation Training for Communication with Individuals at High Risk of Suicide on Nursing Students’ Communication Self-Efficacy,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