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mparison of Acoustic Measurements Using Wired and Wireless Microphones for Smartphone Recordings in Adults with Dysphonia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박정인(Jeong In Park) 이승진(Seung Jin Lee)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30. no.2, 348~366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녹음을 통한 음성평가 시 사용 가능한 다양한 가격대와 연결 유형의 외장 마이크와 음성평가도구인 CSL의 음향학적 측정치를 비교하고, 발성장애 스크리닝 도구로서의 유용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발성장애 성인 29명과정상음성 성인 31명을 대상으로, 고가/저가형의 유선 및 무선 마이크 각 1개씩을 사용하여 모음 연장 과제와 연결 발화 과제를 동시에녹음하여 음향학적 측정치인 F0, Jitt, Shim, NHR, 모음과 문장에서의 CPP와 SR 그리고 그 표준편차와 다변수 음성지수인 켑스트럼스펙트럼 발성장애 지수(CSID), 음향학적 음성의 질 지표(AVQI), 음향학적 심리측정적 발성장애 중증도 지수(APSID), 음성피로 종합지수(CIVF)를 분석하였다. 결과: F0를 제외한 나머지 측정치들에서 CSL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Shim, CPPV, σCPPS, AVQI의 경우집단과 마이크 유형 간 교호작용이 있었다. 마이크 유형별 측정치들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모든 측정치들에서 양의 상관관계를보였으며, SRS, σSRS와 같은 일부 측정치들을 제외하고 중간 이상의 상관관계와 신뢰도를 보였다. 또한 진단 도구로서 유용성을 살펴보았을 때 Jitt, Shim, CSIDV를 제외한 나머지는 CSL과 AUC의 차이가 없었다. 논의 및 결론: 마이크에 따른 측정치들의 차이가 있었으나, 대부분 중간 이상의 상관관계와 높은 신뢰도를 보이며, 발성장애의 스크리닝 도구로서 유용성도 일부 확인하였다. 요약하자면 음성평가를 위한 스마트폰 녹음 시 좋은 품질의 유무선 마이크 사용을 권장하며, 측정하고자 하는 측정치에 따라 마이크 선택의 폭이 달라질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acoustic measurements of various external microphones, differing in price range and connection type, used for smartphone-based voice analysis with those derived from Computerized Speech Lab (CSL) and to evaluate their utility as screening tools for voice disorders. Methods: 29 adults with dysphonia and 31 adults without dysphonia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study used one high-end and one low-end wired and wireless microphone each to simultaneously record vowel phonation tasks and connected speech tasks. Acoustic measurements, including F0, Jitt, Shim, NHR, CPP in vowels and sentences, SR, and their standard deviations were analyzed. Additionally, multivariable voice indices such as Cepstral Spectral Index of Dysphonia (CSID), Acoustic Voice Quality Index (AVQI), Acoustic Psychometric Severity Index of Dysphonia (APSID), and Comprehensive Index of Vocal Fatigue (CIVF) were also analyzed. Results: Except for F0,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between CSL and other devices. Interaction effects between group and microphone type were observed for Shim, CPPV, σCPPS, and AVQI.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across all devices, with most measurements showing moderate to strong correlations and reliability, except for SRS and σSRS. Diagnostic utility showed no significant AUC differences for most metrics except Jitt, Shim, and CSIDV. Conclusion: Despite device-related measurement differences, most metrics demonstrated strong correlations and high reliability with the CSL-based measurements, supporting the feasibility of using external microphones for voice disorder screening. High-quality wired or wireless microphones are recommended for voice assessment using smartphone recordings, as the choice of microphone may vary depending on the specific parameters being measured.;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휘발달지연 아동의 화용언어 능력과 정서 및 행동 특성 간의 관계: 대화 능력을 중심으로
- 온라인 언어발달 선별검사에 대한 영유아 부모 만족도 조사: 아동과 부모의 특성 변인에 따른 연구
- 한국 초등 1, 2학년 난독 아동 선별검사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 초등 1학년 형태소 인식 능력에 따른 초등 2학년 발달성 난독 아동의 읽기발달 특성
- 말소리장애 및 발달성 난독 여부에 따른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낱말 해독 능력 비교
- 초등학교 고학년 느린 학습자 아동과 일반 아동의 이야기 산출 비교: 표현정교화를 중심으로
- 말소리장애 이력 아동 선별을 위한 비단어 따라말하기 과제의 유용성 및 평가지표 분석
- 경피적 귀 미주신경 자극(taVNS)이 정상 청년층의 구어 작업기억, 단어 유창성 및 언어 기반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
- 성대 이상이 있는 엘리트 전문 음성 사용자의 주관적 음성 피로도 수준에 따른 음성음향학적 특성
- 발성장애 성인에서 스마트폰 녹음을 위한 유선 및 무선 마이크의 음향학적 측정치 비교
- 노년층의 감정 발화 산출 특성: 긍정 응대 화행에서 여성 청년층과의 음도, 강도, 발화길이 비교
- 동물 유창성 검사의 한국형 자동 분석 시스템 개발 및 타당도 검증 연구: 정반응 채점 및 군집 기준 구축을 바탕으로
- 실어증 환자의 명사 및 동사 구어 유창성 과제 유형에 따른 수행력 차이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실어증 환자의 명사 및 동사 구어 유창성 과제 유형에 따른 수행력 차이
- 동물 유창성 검사의 한국형 자동 분석 시스템 개발 및 타당도 검증 연구: 정반응 채점 및 군집 기준 구축을 바탕으로
- 어휘발달지연 아동의 화용언어 능력과 정서 및 행동 특성 간의 관계: 대화 능력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