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valuating the Diagnostic Utility of a Nonword Repetition Task for Identifying Children with a History of Speech Sound Disorders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김지영(Ji-Yeong Kim) 하지완(Ji-Wan Ha)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30. no.2, 312~321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비단어 따라말하기 과제를 통해 말소리장애 이력을 가진 아동의 기저 말처리 결함 유무를 확인하고, 해당 과제가 선별 평가도구로서의 타당성이 있는지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에는 5-7세 아동 40명이 참여하였으며, 일반 아동(NSA), 말소리장애 아동(SSD), 말소리장애로 더 이상 진단되지 않으나 말소리장애 이력이 있는 아동(NSA-S) 세 집단의 비단어 따라말하기 과제 수행력을 비교하였다. 비단어 과제는 총 10개 자극으로 구성되었으며, 음절 및 배열점수, 자음 및 모음정확도, 오류유형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그 결과, NSA-S 집단은 단어 수준의 자음정확도는 정상 범주에 속한 것에 비해 비단어 수행에서는 NSA 집단보다 음절점수및 배열점수에서 모두 유의하게 낮았으며, SSD 집단과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특히 배열점수와 모음정확도에서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오류유형 분석에서는 NSA-S 집단의 어중종성첨가 오류율이 다른 두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오류의 양상은 SSD 집단과차이가 있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결과는 말소리장애 이력 집단의 표면적 산출은 회복되었지만, 기저 말처리 결함은 여전히 보유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를 통해 말소리장애 이력 집단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비단어를 활용한 평가의 다각적 분석이 말소리장애 이력 아동의 선별에 유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potential of a nonword repetition task to identify residual speech processing deficits in children with a history of speech sound disorders. Methods: Participants included 40 children aged 5 to 7, divided into three groups: normal speech acquisition (NSA), speech sound disorders (SSD) and normalized speech acquisition with SSD history (NSA-S). The task included 10 Korean nonwords and was evaluated using syllable accuracy, sequencing accuracy, vowel and consonant accuracy, and error types. Results: The NSA-S group performed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NSA group on both syllable and sequencing scores, with performance comparable to that of the SSD group. In terms of vowel accuracy, both the NSA-S and SSD groups showed significantly lower scores than the NSA group, highlighting vowel accuracy as a sensitive clinical marker. Furthermore, the NSA-S group exhibited significantly more medial coda addition errors than the other groups, indicating persistent instability in speech planning or phoneme sequencing. Conclusion: These findings support the nonword repetition task as a sensitive tool for detecting subtle processing deficits in children with a history of SSD, even when overt articulation appears normalized. The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incorporat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in evaluating speech processing skills and recommends continued monitoring for children with resolved SSD.;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휘발달지연 아동의 화용언어 능력과 정서 및 행동 특성 간의 관계: 대화 능력을 중심으로
- 온라인 언어발달 선별검사에 대한 영유아 부모 만족도 조사: 아동과 부모의 특성 변인에 따른 연구
- 한국 초등 1, 2학년 난독 아동 선별검사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 초등 1학년 형태소 인식 능력에 따른 초등 2학년 발달성 난독 아동의 읽기발달 특성
- 말소리장애 및 발달성 난독 여부에 따른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낱말 해독 능력 비교
- 초등학교 고학년 느린 학습자 아동과 일반 아동의 이야기 산출 비교: 표현정교화를 중심으로
- 말소리장애 이력 아동 선별을 위한 비단어 따라말하기 과제의 유용성 및 평가지표 분석
- 경피적 귀 미주신경 자극(taVNS)이 정상 청년층의 구어 작업기억, 단어 유창성 및 언어 기반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
- 성대 이상이 있는 엘리트 전문 음성 사용자의 주관적 음성 피로도 수준에 따른 음성음향학적 특성
- 발성장애 성인에서 스마트폰 녹음을 위한 유선 및 무선 마이크의 음향학적 측정치 비교
- 노년층의 감정 발화 산출 특성: 긍정 응대 화행에서 여성 청년층과의 음도, 강도, 발화길이 비교
- 동물 유창성 검사의 한국형 자동 분석 시스템 개발 및 타당도 검증 연구: 정반응 채점 및 군집 기준 구축을 바탕으로
- 실어증 환자의 명사 및 동사 구어 유창성 과제 유형에 따른 수행력 차이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실어증 환자의 명사 및 동사 구어 유창성 과제 유형에 따른 수행력 차이
- 동물 유창성 검사의 한국형 자동 분석 시스템 개발 및 타당도 검증 연구: 정반응 채점 및 군집 기준 구축을 바탕으로
- 어휘발달지연 아동의 화용언어 능력과 정서 및 행동 특성 간의 관계: 대화 능력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