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arison of Narrative Generation between Upper-grade Elementary Slow Learners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Focusing on Expressive Elaboration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정채은(Chae-Eun Jeong) 김정미(Jung-Mee Kim)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30. no.2, 302~311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느린 학습자는 경계선 지능으로 인해, 학습에 있어 취약한 아동들이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느린 학습자 아동과일반 아동들이 산출한 이야기 특성을 표현정교화 분석체계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초등학교 4-6학년의 느린 학습자 아동 10명과 일반 아동 10명, 총 20명을 대상으로 한 장 그림과 연속그림을 통해 꾸며 말하기 과제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표현정교화 점수체계를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두 집단 비교 및 각 집단에서의 분석결과, 느린 학습자의 표현정교화 총점이 일반 아동보다 유의미하게 낮았으나 과제 유형과 하위범주별로 산출률의 결과는 다르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이야기의 흥미로운 전달을 통해, 청자의 이목을 집중시키는 것은 학령기 의사소통에 있어 중요한 기능이다. 느린 학습자의 이야기 표현 능력 향상을 위해선 표현정교화 요소가 포함된 중재 목표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generation be tween upper grade slow learners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Methods: A total of 20 students, 10 slow learners (SL) and 10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D) in the 4th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participated in. They completed two fictional narrative tasks – single picture and sequenced picture prompts – which were analyzed using an expressive elaboration scoring system. Results: SL scored significantly lower than TD in expressive elaboration, but the results were varied by task type and subcategory. First, SL performed significantly lower than TD in the single picture task but not in the sequenced picture task. Secondly, slow learners performed lower than TD in the orientation and evaluation subcategories. Third, while SL showed no difference in expressive elaboration between the two tasks, TD performed better on the single-picture task. Lastly, SL and TD showed similar patterns in subcategories production frequency. Conclusion: Attracting the listener’s attention through interesting delivery of a narrative is an important function for school-age children. In order to improve slow learner’s ability to produce narratives, intervention should target expressive elaboration strategies.;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휘발달지연 아동의 화용언어 능력과 정서 및 행동 특성 간의 관계: 대화 능력을 중심으로
- 온라인 언어발달 선별검사에 대한 영유아 부모 만족도 조사: 아동과 부모의 특성 변인에 따른 연구
- 한국 초등 1, 2학년 난독 아동 선별검사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 초등 1학년 형태소 인식 능력에 따른 초등 2학년 발달성 난독 아동의 읽기발달 특성
- 말소리장애 및 발달성 난독 여부에 따른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낱말 해독 능력 비교
- 초등학교 고학년 느린 학습자 아동과 일반 아동의 이야기 산출 비교: 표현정교화를 중심으로
- 말소리장애 이력 아동 선별을 위한 비단어 따라말하기 과제의 유용성 및 평가지표 분석
- 경피적 귀 미주신경 자극(taVNS)이 정상 청년층의 구어 작업기억, 단어 유창성 및 언어 기반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
- 성대 이상이 있는 엘리트 전문 음성 사용자의 주관적 음성 피로도 수준에 따른 음성음향학적 특성
- 발성장애 성인에서 스마트폰 녹음을 위한 유선 및 무선 마이크의 음향학적 측정치 비교
- 노년층의 감정 발화 산출 특성: 긍정 응대 화행에서 여성 청년층과의 음도, 강도, 발화길이 비교
- 동물 유창성 검사의 한국형 자동 분석 시스템 개발 및 타당도 검증 연구: 정반응 채점 및 군집 기준 구축을 바탕으로
- 실어증 환자의 명사 및 동사 구어 유창성 과제 유형에 따른 수행력 차이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실어증 환자의 명사 및 동사 구어 유창성 과제 유형에 따른 수행력 차이
- 동물 유창성 검사의 한국형 자동 분석 시스템 개발 및 타당도 검증 연구: 정반응 채점 및 군집 기준 구축을 바탕으로
- 어휘발달지연 아동의 화용언어 능력과 정서 및 행동 특성 간의 관계: 대화 능력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